•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천시의 눈, 연대의 혀 -중일전쟁 이후 중국 인식의 한 단면 (Eye of Contempt, Tongue of Solidari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14.02
48P 미리보기
천시의 눈, 연대의 혀 -중일전쟁 이후 중국 인식의 한 단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의 연구 / 52호 / 249 ~ 296페이지
    · 저자명 : 오태영

    초록

    이 글의 목적은 식민지 후반기 근대 한국의 지식인, 문학자들의 중국 지역 인식의 한 축에 관해 고찰하는 데 있다. 근대 전환기부터 제국-식민지 체제기와 탈식민-냉전체제기를 거쳐 현재의 탈냉전-신자유주의 체제기에 이르기까지 동아시아 지역 질서는 끊임없이 변동해왔다. 이러한 가운데 중국 역시 그 위상에 심대한 변화를 겪어왔다. 근대 초기 한국의 중국 인식은 사회진화론의 관점에서 여전히 유교적 질서로부터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고루한’ 중국에 대한 비판으로 점철되었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1910년 한일병합에 의해 조선이 제국 일본의 식민지가 되자, 서양 제국주의 세력에 의해 반식민지 상태에 처해 있던 중국을 제국-식민지 관계망 속에서 연대의 대상으로 위치 짓기도 하였다. 1937년 중일전쟁의 발발은 근대 한국의 중국 인식에 커다란 전환을 마련한 역사적 사건이었다. 전선기행문에 ‘전장’으로 표상된 중국 지역은 제국 일본의 전쟁 수행의 당위성을 확보하기 위한 장소로 소환되어 ‘폭지응징’의 수사학적 대상으로 자리매김되었다. 제국 일본과 반식민지 중국은 식민지 조선의 지식인, 문학자들에게 몰락/재생, 폐허/신생의 이분법적 구도 속에 배치되어 인식되었던 것이다. 또한, 1941년 아시아-태평양전쟁이 발발하면서 제국 일본은 대륙에서의 전쟁 수행을 위한 군사적 거점을 마련해야 했고, 이를 위해 서양의 반식민지 상태에 놓인 중국을 대동아공영권 내로 통합시킬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당시 문학작품에 나타난 중국은 서양 제국주의 세력에 대항해 동아 제민족이 공존공영할 수 있는 대동아공영권이라는 새로운 동아시아 지역 질서에 포섭되어야 할 국가로 인식되었다. 이처럼 식민지 후반기 중국 인식의 핵심에는 동아시아 지역 질서와 세계 체제의 변동 과정에 대한 식민지 조선의 지식인, 문학자들의 공간 인식과 경계 감각이 작동하고 있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writing is to study the regional cognition of China of modern Korean intellectuals and the literati in the later colonial period. From the turning point of modern ages, imperial-colonial period and postcolonial-Cold War period to the current post-Cold War-Neo Liberalism era, the regional order of East Asia has ceaselessly changed. As a community, country and region, China has also experienced a considerable change in its topology. The Korea’s cognition of China in the early modern age was mostly critical of ‘antiquated’ China which did not, from the viewpoint of social evolution theory, diverge from the Confucian order. After being a colony of Japan Empire through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in 1910, Joseon, however, regarded China as an object of solidarity in the empire-colony network since China was in a semi-colonial state due to the power of west imperialism. Starting from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in 1937, the Korea’s cognition of China in the early modern age changed greatly. Situating China in a space of battlefield under the imperialistic order, Joseon looked at semi-colonial China and Japan Empire in the dichotomous viewpoint of fall/revival and ruin/regeneration. Also, following the outbreak of the Asia-Pacific War in 1941, Japan Empire needed to secure a military foothold for conducting war in the continent of China. To do this, Japan Empire had to integrate semi-colonial China into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In the literary works of the time, China was perceived as a country to be taken into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for facing the power of west imperialism through the solidarity of East Asian countries with Japan Empire as the cen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의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