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海港都市 木浦의 藝鄕性과 가요 <목포의 눈물> 활용사례 (The Artistic City Attribute of the Seaport City Mokpo and the Case for Utilization of the Popular Song,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13.02
32P 미리보기
海港都市 木浦의 藝鄕性과 가요 &lt;목포의 눈물&gt; 활용사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문화 / 46호 / 313 ~ 344페이지
    · 저자명 : 최성환

    초록

    영산강의 길목에 자리한 木浦는 섬과 내륙을 연결하는 海港都市로 발전해 왔으며, 오늘날 ‘藝鄕’이라 불리고 있다. ‘해항도시’와 ‘예술도시’는 많은 연관성이 있다. 본고에서는 ‘海港’이라는 키워드를 가지고 목포가 ‘예향’ 이미지를 형성하게 된 과정, 가요 <목포의 눈물>의 성공 요인과 문화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는 사례를 분석하였다.
    목포의 ‘藝鄕性’은 개항이후 형성된 근대해항도시로서 문화적 특징에 기반 한 것이다. 근대문화 보급의 중심지 역할, 해항도시의 상업성, 섬과 내륙을 연결하는 소통과 교류의 기능 등 목포항이 지닌 독특한 인문환경이 배경이 되었다. 또한 섬에서 이주해 온 예술인이 많다는 점도 특징이다. 목포항을 주제로 한 대중예술 중 가장 대표적인 사례는 1935년 이난영이 발표한 가요 <목포의 눈물>이다. 이난영은 목포 출신으로 항구가 지닌 일제강점기 사회적 정서를 가장 잘 표현하였다. 그의 노래는 전국 6대도시로 성장한 목포의 문화를 모티브로 창작되고 상품화 된 사례였다.
    <목포의 눈물>은 지금도 국민적인 인지도가 높다. 이를 활용하기 위해 목포시에서는 이난영이 세상을 떠난 1965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기념사업을 전개해 왔다. 이는 ‘목포는 항구’라는 정서와 ‘예술의 도시’라는 이미지를 널리 알리는 역할을 해왔다. 앞으로도 목포항을 대표하는 문화자원으로 활용될 전망이다. 그러나 그 방향성에 대해서는 가수 개인에 대한 선양보다는 <목포의 눈물>이 지닌 문화적 의미를 재조명하는 방향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Mokpo, which is situated at the mouth of the Yeongsan-gang (river), has developed as a seaport city, and today it is called an 'artistic city'. There are many connections between a 'seaport city' and an 'artistic city'. This paper analyzed the process of Mokpo creating an image as an 'artistic city' with the keyword of 'seaport', the success factor of the <Tears of Mokpo>, and the case in which the song is utilized as a cultural resource.
    The 'artistic city attribute' of Mokpo was based on cultural characteristics as a modern seaport city created after opening the port. The unique humanitarian environment of Mokpo Port, such as the role of a centric region for the distribution of modern culture, the commercial features of a seaport city, and the function of communications and interchanges connecting an island and the mainland, became the background of Mokpo. The most representative case among the public art themed with Mokpo Port is <Tears of Mokpo>, a popular song presented by Lee Nan-yeong in 1935. As one from Mokpo, Lee Nan-yeong best expressed the social emotion of the period of the port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Her song was a case that was created and commercialized with the motive of showing the culture of Mokpo, which had grown to be one of the major six cities nationwide.
    Even now <Tears of Mokpo> has a high national recognition. In order to utilize this, Mokpo City has developed various memorial projects since 1965, the time when Lee Nan-yeong died. This has played a role in promoting widely the emotion of 'Mokpo is a port' and an image of a 'city of art'. Also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representative cultural resource of Mokpo Port; however, in terms of its direct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it in a way to highlight again the cultural meaning of <Tears of Mokpo> rather than exalting the individual sing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