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눈대상포진 환자의 임상양상 및 위험인자 분석 (Clinical Features and Risk Factors of Herpes Zoster Ophthalmicus)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17.12
8P 미리보기
눈대상포진 환자의 임상양상 및 위험인자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 / 58권 / 12호 / 1317 ~ 1324페이지
    · 저자명 : 문치영, 정문선

    초록

    목적: 눈대상포진 환자 중 심한 안증상이 동반된 경우의 임상양상과 위험인자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2년 1월부터 2015년 6월까지 눈대상포진으로 진단된 106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이용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눈대상포진 환자들의 안증상의 종류와 빈도를 확인하고, 결막염, 점상각막염, 가성수지각막염 소견을 보이는 환자를 경증군, 심층기질각막염, 각막내피염, 공막염, 녹내장, 외안근마비를 보이는 환자를 중증군으로 나누었다. 두 군에서 나이, 성별, 피부 병변의 정도와 위치, 증상 발생부터 치료 시작까지의 시간, Hutchinson’s 징후 여부 그리고 동반된 전신질환들에 대해 비교하였다. 또한 두 군의 치료 후 시력, 안압의 변화와 치료기간, 재발 및 포진 후 신경통 발생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 전체 106명의 환자의 안증상은 결막염(47.2%), 점상각막염(42.5%), 가성수지상각막염(12.2%), 심층기질각막염(12.2%), 각막내피염(15.1%), 공막염(18.9%), 이차성 녹내장(14.2%), 외안근 마비(4.7%)의 빈도로 관찰되었다. 경증군은 결막염, 점상각막염, 가성수지상각막염을 진단 받은 70명 70안이, 중증군에는 심층기질각막염, 각막내피염, 공막염, 녹내장, 외안근 마비를 진단 받은 36명 36안이 포함되었다. 두 군을 비교하였을 때 가장 많이 침범한 뇌신경분지는 삼차신경의 첫 번째 분지로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연령이나 성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피부병변의 범위가 넓고 심한 경우(p<0.01), Hutchinson 징후가 있는 경우(p=0.01) 그리고 치료 시작까지 지연된 시간이 긴 경우(p=0.02) 중증군에 속하는 안증상이 더 흔하였다. 재발과 포진 후 신경통의 발생은 두 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16).
    결론: 눈대상포진 환자에서 피부병변이 넓고 심하거나 Hutchinson' 징후가 있고 항바이러스제 치료가 지연된 경우에는 장기간 치료가 필요하며 후유증 발생 가능성이 높은 심한 안증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적극적인 관찰과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of severe manifestation of herpes zoster ophthalmicus.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analysis using medical records from 106 patients diagnosed with herpes zoster ophthalmicus from January 2012 to June 2015. Patien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and frequency of ophthalmologic manifestations. Patients with conjunctivitis, punctate keratitis, and pseudodendritic keratitis were classified into the mild group, whereas patients with deep stromal keratitis, endothelitis, scleritis, glaucoma, and extraocular muscle paralysis were classified into the severe group. The age, sex, severity, location of skin lesions, delayed time to treatment, the presence of Hutchinson's sign, and associated systemic diseases were compared between the groups. In addition, we investigated changes in vision, intraocular pressure, treatment duration, recurrence and the prevalence of postherpetic neuralgia.
    Results: The incidence of conjunctivitis (47.2%), punctate keratitis (42.5%), pseudodendritic keratitis (12.2%), deep stromal keratitis (12.2%), endothelitis (15.1%), scleritis (18.9%), glaucoma (14.2%), and extraocular muscle (EOM) paralysis (4.7%) were observed in these patients. The group with mild disease included 70 cases with conjunctivitis, punctate keratitis and pseudodendritic keratitis. The severe group included 36 cases with deep stromal keratitis, endothelitis, scleritis, glaucoma and EOM palsy. Disease most often occurred in the distribution of the first branch of the trigeminal nerve, with no differences in the age or sex of patients in both groups. Severe manifestations were more common when a greater extent of the skin was involved, when Hutchinson’s sign was present, or when treatment was significantly delay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recurrence or the presence of postherpetic neuralgia.
    Conclusion: Long-term treatment for herpes zoster opthalmicus is more likely to be required if severe manifestation of disease exists, such as widespread skin involvement, Hutchinson's sign, or a delay to the initiation of antiviral treatment. More active observation and treatment are required in such cas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안과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