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베단따수뜨라』(Vedānta-sūtra)에 대한 샹까라(Śaṅkara)와 라마누자(Rāmānuja)의 주석 비교 - 브라흐만(Brahman)과 세계의 관계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Śaṅkara and Rāmānuj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Brahman and the World in Their Commentaries on the Vedānta-sūtras)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12.10
20P 미리보기
『베단따수뜨라』(Vedānta-sūtra)에 대한 샹까라(Śaṅkara)와 라마누자(Rāmānuja)의 주석 비교 - 브라흐만(Brahman)과 세계의 관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남아시아연구 / 18권 / 2호 / 69 ~ 88페이지
    · 저자명 : 이거룡

    초록

    수뜨라(sūtra, 經)는 각 철학 체계의 주요 교의들을 간결한 경구(警句) 형태로 언급하고 있으며, 이 경구들은 가능한 한 지극히 말을 아낀다. 따라서 수뜨라의 각 경문이 지니는 정확한 의미를 이해하고 그 본래의 진의에 접근하는 것은 매우 어려울 수밖에 없으며, 이것은 각 수뜨라에 대한 수많은 주석서들이 저술되는 결과를 낳았다.
    본 논문은 『베단따수뜨라』에 대한 샹까라(Śaṅkara, 8세기)와 라마누자(Rāmānuja, 1017-1137)의 주석에 나타난 브라흐만(Brahman)과 세계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베단따수뜨라』의 핵심 주제는 브라흐만을 탐구하는 것이지만, 이에 대한 주석자로서 이 두 사상가의 주요 관심사는 브라흐만 자체가 아니라 브라흐만과 세계의 관계이다. 비교를 위하여 1) 유속성(saguṇa) 브라흐만과 무속성(nirguṇa) 브라흐만, 2) 환영설(māyāvāda)과 전변설(pariṇāmavāda), 3) 세계의 실재성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샹까라와 라마누자는 브라흐만의 본질을 서로 다르게 해석한다. 라마누자는 오직 유속성(saguṇa) 브라흐만이 있을 뿐이라고 보는데 비하여, 샹까라는 궁극적 실재로서의 브라흐만은 무속성(nirguṇa) 브라흐만이며, 유속성 브라흐만은 마야(māyā, 幻影)에 의하여 미혹된 브라흐만으로 간주한다. 브라흐만을 무속성으로 보느냐 아니면 유속성으로 보느냐에 따라서 브라흐만과 세계의 관계가 규정되며, 이것은 샹까라와 라마누자에게 각각 환영설과 전변설로 나타난다. 브라흐만이 무속성이라는 샹까라의 해석은 환영설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며, 이에 비하여 브라흐만이 유속성이라는 라마누자의 해석은 전변설을 함축한다. 무속성 브라흐만과 환영설, 유속성 브라흐만과 전변설에 의하여 규정되는 세계의 존재론적 위상은 확연히 다르다. 샹까라에게 세계는 마야의 산물로서 경험적인 실재성(vyāvahārika-satta)을 지니지만, 브라흐만을 아는 순간에 부정되어 사라진다는 점에서 궁극적으로 실재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라마누자는 원인으로서의 브라흐만뿐만 아니라, 결과로서의 세계의 실재를 주장했다. 브라흐만뿐만 아니라 의식적인 존재(cit)와 물질(acit)도 브라흐만과 마찬가지로 실재한다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 principal tenets of the six darśanas are stated in the form of sūtras or short aphorisms. They are intended to be as short as possible, free from doubt, able to bring out the essential meaning and put an end to many doubts. They try to avoid all unnecessary repetition and employ great economy of words. This extreme conciseness makes it difficult to understand the sūtras without a commentary.
    This paper is an attempt to compare Vedāntasūtra-Śaṅkara-bhāṣya and Śrībhāṣya of Rāmānuj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Brahman and the world. For convenience' sake, I did the comparison and contrast under the categories of 1) nirguna-brahman and saguna-brahman, 2) māyāvāda and pariṇāmavāda, and 3) the reality of the world.
    Śaṅkara drew a distinction between niguṇa Brahman and saguṇa Brahman, between Brahman and Īśvara. This Īśvara of Śaṅkara was endowed with several attributes appropriate to a God of popular devotion, but the nirguṇa Brahman who constituted the sole existent Reality for Śaṅkara was devoid of any such qualification. However, Rāmānuja did not admit the distinction between nirguṇa Brahman and saguṇa Brahman. For Rāmānuja, Brahman is always saguṇa Brahman, and nirguṇa Brahman is a mere metaphysical abstraction.
    On the strength of the ārambhaṇādhikaraṇa of the Vedānta-sūtras (ii.1.15-20), both Śaṅkara and Rāmānuja hold that Brahman is the total cause of the world. However, their interpretations of the ontological status of the world, which ar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māyāvada and pariṇāmavāda respectively, are totally different. Śaṅkara recognized the relative reality of the empirical world(vyāvahārika-sattā) different from the Ultimate, and consequently we may recognize the possibility of a Creator and His creation in the vyāvahārika realm. However, from the standpoint of the ultimately real (paramārthika), both the Creator(Īśvara) and the created are the mere products of māyā-illusory appearance of the Absolute. As far as the conclusion that the world is non-different from Brahman, Rāmānuja agrees with Śaṅkara. However, the reasons for which the conclusion is maintained are exactly oppos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Śaṅkara, the world and Brahman are non-different because the world is not real, whereas Rāmānuja maintains that because the world is as real as Brahman, they are non-differ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아시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