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교조에 대한 법외노조통보처분의 타당성 여부 - 서울고등법원 2016.1.21., 선고 2014누54228 판결을 중심으로 - (The Validity or Invalidity of Outlawed Trade Union Notification to the Korean Teachers and Education Workers Union)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16.11
27P 미리보기
전교조에 대한 법외노조통보처분의 타당성 여부 - 서울고등법원 2016.1.21., 선고 2014누54228 판결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57권 / 4호 / 313 ~ 339페이지
    · 저자명 : 김희성

    초록

    노조법 제2조 제4호 라목에서는 ‘근로자 아닌 자’의 규정을 통하여 노동조합의 자주성을 확보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법 규정에 포함되는 지의 여부로 자주성 판단이 이루어진다고 할 것이며, 법외노조통보단계에서 별도로 자주성 심사를 할 필요는 없다는 점이다. 이 점은 노조법 제2조 제4호 각목의 규정의 견련관계를 중심으로 유기적으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고, 제2조 제4호 라목 단서는 “해고된 자가 부당노동행위 구제신청을 한 경우에는 중앙노동위원회의 재심판정이 있을 때까지는 근로자 아닌 자로 보아서는 아니 된다”고 함으로써 근로자가 아닌 자의 범위를 법률로 제한하고 있음을 통해 알 수 있다.
    또한, 노조법 제2조 제4호 단서에서 각목에 해당하는 경우 ‘노동조합으로 보지 아니한다’고 규정한 이상, ‘노조 아님’의 효과는 법 제2조 제4호 단서 각목에 해당하는 경우 법률의 규정에 의해 곧 바로 발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는 예외가 있을 수 없으며, 법규정 내로 포섭되는 지 여부만이 판단기준으로 작용할 뿐이다.
    교원노조법은 교원에 적용할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에 관한 특례를 규정한 법으로 교원의 노동관계에 관한 1차적 적용법률이며, 교원노조법에 정한 사항이 없을 때 노조법이 보충적으로 적용된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교원노조법 제2조가 적용범위를 초중등교육법 제19조 제1항의 교원으로 한정하면서, 단서에서 그 범위를 현직교원으로 제한하고 있는 바 교원노조법 제2조 단서의 해석범위에 따라 결정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해석의 판단기준으로는 교원의 근로관계의 특수성, 직무의 공공성, 신분보장, 교원의 단결권 보장 필요성 등을 종합하여 판단해야 할 사안인 바, 이를 노조법 제2조 제4호 라목 단서의 근로자 아닌 자의 해석범위와 동일한 판단기준으로 해석해서는 안 될 것이다.
    노조법 제2조 제4호 단서의 규정에 의해 각 목에 의해 노동조합으로 보지 아니하는 효과가 발생한 이상, 노조법 시행령 제9조 제2항의 시정요구와 시정요구를 하지 않을 때 노동조합으로 보지 아니한다는 행정통보는 노조법 제2조 제4호 단서에 의한 ‘노조 아님’의 법률효과를 집행하는 행정행위일 뿐이며, 이로 인해 비로소 ‘노조 아님’의 법률효과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비록 노동조합이 노조법 제2조 제4호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 할 수 없어 행정기관의 ‘노조 아님’ 통보에 의해 이를 인식한다고 해서, 법외노조의 법률효과가 ‘노조 아님’ 통보로 인해 비로소 발생한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더욱이 노조법 시행령 제9조 제2항에서는 노조법 제12조 제3항 제1호(노조법 제4조 각 목의 1에 해당)의 반려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도 이를 시정할 기회를 줌으로써 노동조합으로 하여금 일정 기간 보충하도록 하여 유예하고 있으며, 시정기회를 주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시정하지 않은 경우에 비로소 ‘노조 아님’ 통보를 한다는 점에서 이는 국민의 권리와 의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단지 ‘노조아님’ 통보에 이르는 방법과 절차를 규정한 집행명령이라고 할 것이다.
    또한 ‘법외노조’의 효과가 노조법 시행령 제9조 제2항에 의해 발생되는 것이 아니며, 노조법 제9조 제2항은 보완기회 부여를 통해 일정정도 노동조합의 기능을 보완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침익적 행정행위라고 볼 수도 없다.

    영어초록

    If subparagraph 4(la) of Article 2 of the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 considers securing the autonomy of unions under the provision of 'those who are not workers', deciding its autonomy can be achieved on whether or not they are included in the provision and it is not necessary to examine the autonomy additionally at the stage of outlawed trade union notification. This regard shall be comprehended organically on the focus of close relations under the each item of subparagraph 4 of Article 2 of the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 and the proviso of subparagraph 4(la) of Article 2 restricted the scope of 'those who are not workers' under the Act that provides “Provided that a dismissed person shall not be regarded as a person who is not a worker, until a review decision is made by the National Labor Relations Commission when he/she has made an application to the Labor Relations Commission for remedies for unfair labor practices”.


    In addition, since the proviso of subparagraph 4 of Article 2 of the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 provides ‘n cases where an organization falls into one of the following categories, it shall not be regarded as a trade union’ the effect of ‘ot be regarded as a trade union’can arise immediately from the provision of the Act, each item of the proviso of subparagraph 4 of Article 2 of the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 There is no exception to this regard and whether or not it is included inside the provision of the Act does only act as a decision criterion.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Operation, etc., of Trade Unions for Teachers as an act regulating the exception of the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 in order to apply to teachers is a first application statute with labor relations of teachers and the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 is applied supplementally if there is no provision of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Operation, etc., of Trade Unions for Teachers. Therefore, Article 2 of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Operation, etc., of Trade Unions for Teachers limits teachers of Article 19(1)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as an application scope and the proviso limits the scope as current teachers and shall be decided as an interpretation scope of the proviso of Article 2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This decision criterion of interpretation shall comprehensively consider the specialty of employment relationships of teachers, the public character of one's duty, the guarantee of status, the necessity of protection of right to organize for teachers, etc., which shall not be interpreted as a same decision criterion with interpretation scopes of those who are not workers under the proviso of la item of subparagraph 4 of Article of the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


    Because the effect of ‘not be regarded as a trade union’ arises under the proviso of subparagraph 4 of Article 2 of the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 the administrative notification that a trade union is not regarded if there is no correction demanded under Article 9(2)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 is only an administrative action enforcing the legal effect, ‘not be regarded as a trade union’ under the proviso of subparagraph 4 of Article 2 of the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 and it does not incur the legal effect, ‘not be regarded as a trade union’. One does not decide whether or not a trade union is included in subparagraph 4 of Article 2 of the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 and even though the decision is recognized under the notification of administrative agency, ‘not be regarded as a trade union’, the legal effect of outlawed trade unions does not occur by the notification. Furthermore, Article 9(2)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 gives the opportunity of correction even though there arise such grounds for returning the written report of establishment under subparagraph 1 of Article 12(3) of the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item 1 of Article 4 of the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 so that the trade union has a grace period to correct and in case that there is no correction, the notification of ‘not be regarded as a trade union’ does not limit people's rights and duties and is an executive order which regulates its method and procedure. Moreover, the effect of ‘outlawed trade unions’ does not occur by Article 9(2)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 and Article 9(2) of the Enforcement Decree is not seen as an administrative action depriving or limiting one's rights and imposing one's duties since it gives a trade union the opportunity of correction to make up its ope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