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증뇌병변장애인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장애자녀 교육경험에 관한 연구 - 해석학적 질적연구 - (The Study of the Disability Education Experience of the Mothers for their Children with Brain Lesions - Hermeneutic Grounded Theory Methodology -)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16.12
28P 미리보기
중증뇌병변장애인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장애자녀 교육경험에 관한 연구 - 해석학적 질적연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재활복지 / 20권 / 4호 / 79 ~ 106페이지
    · 저자명 : 강선경, 최윤

    초록

    본 연구는 중증뇌병변장애인 자녀를 둔 어머니들에게 장애교육 현상이 어떻게 경험되고 있으며 그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해 7명의 중증뇌병변장애인자녀를 둔 어머니들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구술 원자료를 Rennie (2000; 2006; 2007)의 해석학적 질적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53개의 의미단위와 16개의 하위범주 및 7개의 해석학적 범주를 구성하였다. 해석학적 범주는 ‘매일매일 통곡하는 마음’, ‘자원의 사회적 동원’, ‘앞만 보고 전진’, ‘계란으로 부순 바위’, ‘먼 곳 바라보기’, ‘더불어사는 교육’, ‘장애교육의 주체화’이었다. 연구참여자들에게 장애자녀 교육은 체념단계, 추스림 단계, 비전세우기 단계와 도전단계, 작은 성취 단계를 통하여 최종적으로는 공동체에 희망걸기 단계로 나아가는 좌절과 희망세우기의 동시경험으로 나타났다. 연구참여자들이 보이는 반복적인공통의 행위패턴을 분석한 결과 추수형, 현실전략형 및 불굴의 도전형의 세 가지 유형을 보이고있었다. 이들의 교육경험의 핵심범주는 ‘중증장애 절망을 교육을 통해 희망으로 바꾸어가는 연단의 과정’이었다고 결론지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증뇌병변장애인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교육경험의 실태와 사회구조적 문제에 대한 논의를 하였고, 어머니들의 장애자녀 교육지원을 위한 구체적 제언을 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meanings of the disability education of the mothers who reared their children with brain lesions. For this purpose, Rennie's hermeneutic grounded theory was applied and the consented 7 mot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ith the in-depth interviews, 53 meaning units, 16 subordinate categories and 7 hermeneutic categories were classified.
    These 7 hermeneutic categories were ‘wailing miserably everyday’, ‘social mobilization of the surroundings’, ‘straight forward', ‘smash rock with the eggs’, ‘looking at a faraway’, ‘learning together’ and ‘subjectivation of disability education.’ The experience of disabled children education process was concurrent experience of frustration and hoping that moving toward a big hope through the resignation stage, the chasing stage, the vision stage, the challenge stage, and the small achievement stage. Repetitive common patterns of behavior revealed three types: wishy-washy type, realistic-strategy type, and indomitable-challenge type.
    Moreover, the core category of educational experience was concluded to be ‘a pedagogical process of turning despair from severe disabilities into hope through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concrete intervention plans for social welfare practice were suggested to support the disabled children's lives with high quality of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재활복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