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내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일상생활활동 중재 연구 분석: 단일대상연구 설계를 중심으로 (Analysis of Intervention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Stroke Patients in Korea: Focusing on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24.02
13P 미리보기
국내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일상생활활동 중재 연구 분석:  단일대상연구 설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재활치료과학 / 13권 / 1호 / 9 ~ 21페이지
    · 저자명 : 성지영, 최유임

    초록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에게 일상생활활동 향상을 위해 중재를 시행한 국내 단일대상연구문헌의 특성과 질적 수준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누리미디어(DBpia), 학술교육원(e-article)의 원문제공 서비스를 통해 2009년부터 2023년까지 최근 15년간 발간된 논문 중 ‘뇌졸중’, ‘일상생활활동’, ‘단일대상연구’를 주요 키워드로 검색하였다. 총 9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 대상논문의 특징과 질적 수준을 알아보았다.
    결과 : 9편의 분석 대상 논문 중 작업치료 분야 학회지에 실린 논문이 6편이었고, 분석 논문에서 적용한연구 설계는 ABA 설계가 3편으로 가장 많았다. 대상자들의 성별은 남성과 여성이 각각 10명씩이었고, 대상자 수가 3명인 논문이 5편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 대상자들의 연령은 60대가 6명으로 가장 많았다. 일상생활활동 향상을 위해 적용한 독립변인은 강제유도운동치료, 상상연습, 시각되먹임을 차단한 자세수직훈련, 양측성 상지운동, 가상현실을 이용한 과제훈련, 신경인지재활치료와 전통적인 작업치료, 체간안정화 훈련, 완곡추적 안구운동과 경부신전근 진동자극법,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 각각 1편씩으로다양한 중재들을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을 측정한 평가도구는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이 4편으로 가장 많았고, Modified Barthel Index와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ce Measure가 각각 2편이었다. 분석 논문의 질적 수준을 평가한 결과 총 9편 중 높은 수준의 연구가7편이었고, 중간 수준의 연구는 2편이었으며, 낮은 수준의 연구는 단 1편도 없었다.
    결론 :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향상을 위한 중재법으로 여러 유형의 재활치료가 활발히 적용되고있으며, 일상생활활동 중재를 적용한 단일대상연구들의 질적 수준은 신뢰할 수준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a single-subject research that conducted interventions to improv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in stroke patients.
    Methods : ‘Strok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single-subject studies’ were searched as keywords among papers published in the last 15 years between 2009 and 2023 among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DBpia, and e-articles. A total of nine papers were examined for the characteristics and quality before analysis.
    Results : The independent variables applied to improve ADL included constraint-induced therapy, mental practice for performing functional activities, virtual reality-based task training, subjective postural vertical training without visual feedback, bilateral upper limb movement, core stability training program,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and neurocognitive rehabilitation, smooth pursuit eye movement, neck muscle vibration, and occupation-based community rehabilitation.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was the most common evaluation tool for measuring dependent variables, with four articles, and Modified Barthel Index and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were two articles each.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qualitative level of the analyzed papers, out of a total of nine studies, seven studies were at a high level, two at a moderate level, and none were at a low level.
    Conclusion : Various types of rehabilitation treatments have been actively applied as intervention methods to improve the daily life activities of stroke patients; the quality level of single-subject studies applying ADL interventions was reliab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