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만성 뇌졸중 환자의 낙상 관련 자기 효능감을 이용한 낙상 위험 예측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Predicting of Fall Incidence Using the Falls-related Efficacy Scale in People with Chronic Stroke)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13.03
18P 미리보기
만성 뇌졸중 환자의 낙상 관련 자기 효능감을 이용한 낙상 위험 예측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 52권 / 1호 / 241 ~ 258페이지
    · 저자명 : 박창식, 김우기, 안승헌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뇌졸중 환자들의 낙상 관련 자기 효능감(Falls Efficacy Scale, FES)이 1회 또는 다발성 낙상군의 낙상을 예측하는데 변별력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졸중 환자 63명을 대상으로 입원에서 퇴원까지 낙상 횟수를 기록하였고, 낙상 관련 자기효능감, 인지(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version, MMSE-K), 우울증(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체간 조절(Trunk Impairment Scale, TIS), 하지 근력(Sit to Stand, STS), 마비측 상ㆍ하지 운동 기능(Fugl Meyer-Motor function of Upper/Lower Extremity), 동적 균형(Berg Balance Scale, BBS)과 이동성(Timed Up & Go test, TUG)을 평가하였다. 낙상에 따른 연구 대상자들의 일반의학적인 특성은 카이제곱 검정(χ²),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하였고, 수용자 작업특성곡선(Receiver operation characteristic curve, ROC curve)을 이용하여 낙상 예측에 관한 FES 최적의 선별 기준값(cutoff value)을 구하였고 낙상 예측 요인은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 전진 wald)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낙상 횟수가 많을수록 기능적 수행 능력에 제한이 있고, FES ≥14점은 1회 낙상, ≥34.5점은 다발성으로 낙상할 확률이 크다고 할 수 있다. 1회 낙상군은 FES, 다발성 낙상군은 FES와 GDS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으나 두 군 모두 FES에 영향을 받고 있으며, BBS, TUG, STS는 낙상을 예측하는 변수들로서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따라서 만성 뇌졸중 환자들은 낙상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낙상에 대한 두려움과 심리적 스트레스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치료 전략과 기능 훈련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use of falls efficacy scale for people with chronic stroke provided any discrimination of fall prediction to subjects who were having one (1) fall or multiple falls with chronic stroke. We recorded the number of falls that occurred during hospitalization for 69 subjects with chronic stroke studied, as well as the Falls Efficacy Scale(FES),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version (MMSE-K),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 Trunk Impairment Scale(TIS), Sit to Stand(STS), Fugl Meyer- Motor function of Upper/Lower Extremity, Berg Balance Scale(BBS), and Timed Up & Go test(TUG) were estimated for the study. Chi-square statistics and one -way ANOVA were used to analyz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measured value of the subjects. Receiver operation characteristic curve(ROC curve) was conducted to detect cutoff value of FES for fall prediction. To identify fall risk factor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the following; first the subjects with the more numbers of falls had the more limited functional performance ability and we predicted that FES of ≥14 was associated with having 1 fall, FES of ≥34.5 was also associated with having multiple falls;second even though one (1) fall group was affected by FES, and multiple falls group was affected by FES and GDS, both groups were affected by FES and lastly all of BBS, TUG, and ST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each other as variables predicting fall incidence. Consequently, to prevent of falls we should provide chronic stroke patients with specific treatment strategy for minimizing fear and psychological stress of falling and functional trai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