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폭군으로서 이반 뇌제(雷帝)의 회화적 형상: 19세기 후반을 중심으로 (The pictorial form of 'Ivan the terrible' as a Tyrant: Focused on the Late 19th Century)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19.08
27P 미리보기
폭군으로서 이반 뇌제(雷帝)의 회화적 형상: 19세기 후반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러시아 • 알타이지역 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러시아학 / 19권 / 103 ~ 129페이지
    · 저자명 : 이규영

    초록

    이 글에서는 이반 뇌제의 회화적 형상을 초상화, 큰아들, 오프리치니키에 관한 주제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19세기 후반부터 러시아 화단은 군주의 공적을 칭송하던 과거의 관행에서 벗어나 군주의 개성, 심리에 대해 자유롭게 묘사하기 시작했다. 따라서 이반 뇌제에 대한 화가들의 인식과 태도, 가치관이 장르의 특성에 따라서 다양하게 반영되었다. 초상화는 인물의 자세와 표정이 강조되고 서사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화가의 스타일이 중요하다. В. 바스네초프의 작품은 장식성, 극장성과 함께 이반 뇌제가 쌍두독수리 문장을 밟고 있는 자세를 통해 전제군주의 위용을 드러냈다. И. 글라주노프는 과거 전통을 콜라주 기법으로 변형시켰고, 이반 뇌제, 단대두 처형, 바실리 성당 앞의 군중의 구도 속에서 군주와 국민과의 소통이 단절되었음을 암시했다.
    이반 뇌제와 그의 아들, 오프리치니키 관련 작품들은 슈제트가 명확하고 화가의 관점과 세계관이 비교적 잘 드러났다. 역사적 실증에 역점을 둔 В. 슈바르츠의 작품은 이반 뇌제와 그의 아들 사건에 대해 양가적 관점을 드러냈고, И. 레핀의 경우 이반 뇌제의 야만성, 비도덕성을 광기의 모습으로 표현했다. 이반 뇌제와 오프리치니키에 관한 작품들은 그들의 잔인함, 야만성과 민중들의 시대적 운명, 영혼의 복수 등을 통해서 권력과 인권에 대한 삶의 본질적인 문제를 되돌아보게 했다.
    이렇게 19세기 후반부터 러시아 화단의 군주에 대한 중립적, 양가적, 부정적인 묘사는 러시아 민중들의 인권과 사회 개혁에 대한 공동체 구성원들의 자성에서 시작되었다. 이는 19세기 후반에 이반 뇌제의 형상을 그린 화가들이 대부분 이동 전람회 모임과 직간접적으로 연관되었다는 것으로도 알 수 있다. 폭군으로서 이반 뇌제의 회화적 형상은 그에 대한 화가들의 스타일과 관념의 표상일 뿐 아니라 러시아 공동체에 대한 그들의 시대정신이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I analyzed the pictorial figuration of 'Ivan the terrible' as a subject related to portraits, the eldest son, and 'Oprichnik'. From the latter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the Russian painters began to freely describe the individuality and psychology of the monarch, escaping the past practices of celebrating the monarch's achievements. Therefore, the perception, attitude, and value of the painters on the Ivan the terrible were variously reflected in the pictur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 genre. Portraits are lacking in narratives, and the attitude and expression of a person is emphasized. So the style of portrait painter is important. Compared to portraits, the themes of works related to 'Ivan the terrible and his son', and 'Oprichnik' is clear. Therefore, the viewpoint of the painter is relatively well expressed.
    It is because of the reflection of the community on the human rights and social reform of the Russian people that the Russian painters began to describe neutral, ambivalent, and negative forms about the monarchy from the late 19th century. This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most of the painters who painted the figure of 'Ivan the terrible' in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were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e Wanderers'. The pictorial form of 'Ivan the terrible' as a Tyrant was not only a representation of the artist's style and notions about him, but also was the spirit of the age for the Russian commu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