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회적 기억과 플라뇌르적 시선: ‘밀양 송전탑 건설 갈등’을 중심으로 (Social Memory and Viewpoint of Flâneur: Based on the ‘Milyang Power Transmission Tower Construction Conflict’ Case)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19.02
45P 미리보기
사회적 기억과 플라뇌르적 시선: ‘밀양 송전탑 건설 갈등’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학 / 53권 / 1호 / 49 ~ 93페이지
    · 저자명 : 남미숙, 유승호

    초록

    최근 우리는 국가적 재난이라 할 수 있는 사고를 겪으면서 일상의 의미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겪고 있다. 크고 작은 사고들은 구조적인 문제를 드러냈고 사회의 구조적인 문제는 개인의 삶에 큰 변화를 가져왔으며, 그 변화는 일상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계기가 되었기 때문이다. 일상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개인의 일상적인 기억을 다양한 관점으로 기록하는 ‘사회적 기억’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고 있다. 개인의 일상을 다양한 관점으로 기록한다는 것은 같은 불행이 반복되는 것을 예방하는 차원이며, 구조적인 모순에 대한 인식을 전제로 소외되고 배제된 개인의 일상을 기록하는 것이다. 이에 근대라는 거시적인 사회의 구조적 변화를 도시공간의 구체적인 경험들로 기록한 벤야민의 역사철학적 관념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화려한 도시의 뒷골목을 탐색하며 도시의 이면에 숨겨진 남루한 일상을 기록하는 플라뇌르의 시선으로 자본에 의해 소외되고 배제된 일상을 기록함으로써 근대의 구조적 폭력성을 폭로하기 때문이다.
    지난 10여 년간 지속되어 온 ‘밀양 송전탑 건설 갈등’은 공적인 이익과 사적인 이익이 상충되는 공공갈등의 사례로, 사건을 기록하는 주체에 따라 그 본질이 다르게 기록되었다. 소위 주류언론의 기록에서는 지역 이기주의로 사건을 왜곡, 축소하여 기록하고 있다. 반면 사회적 기억의 관점으로 해석된 밀양 이야기는 자본의 효율성에 의해 파괴된 개인의 일상을 강조함으로써 사건의 구조적 본질을 드러낸다. 밀양 송전탑 건설 갈등 사례를 플라뇌르적 시선으로 재구성한다는 것은집단의 기록인 역사가 채우지 못한 일상의 빈곳을 채워 내러티브를 완성하는 것이다. 사건을 기록한다는 것은 개인의 기억과 집단의 기억 모두를 기록하는 것이고 이로써 한 사회를 기록한다는 총체적 기록화에 이를 수 있게 된다.

    영어초록

    Recently, South Koreans are undergoing a change in their perception of daily life meaning through the accidents, the national disasters, big and small, revealing systematic problems. This systematic or structural problems of the society have brought about a great shift in the individual's life, which became a reason for realizing the preciousness of daily life, and that lead people to have interest in ‘social memories’ that is to record a person’s daily memories from various perspectives. Recording an individual's daily life in multi-porosity perspectives is to prevent the misfortune being repeated. It also records the daily life of the one who is alienated and excluded, preconditioned by perceptions on structural contradictions. Benjamin's historical philosophy, which is to record the macroscopic social structure changes with concrete experiences in urban space, carries significant implications. Benjamin's record of exploring the back streets of the spectacular city and grasping the macro-structure of modern times is the same as his "social memory" of daily life, alienated and excluded by the capitals today. Also, Flâneur’s gaze, from which the records of the shabby and routinely life hiding at the ‘backstreets’ of the city istaken, is the qualities and the role for today's archivists who record the trivial and ordinary things in life. Therefore, today's archivist should complete the narrative through the gaze of Flâneur, by filling out the empty spaces of daily life that the history of the collective record has not filled. It makes possible, by recording the society, to archive a ‘total documentation’ that is to record both individual and collective memories. Over the past decade, the ‘Milyang power-transmission tower construction conflict case’ was perceived differently depending on who recorded the incident, as an example of the public versusprivate conflict of interest. The so-called ‘mainstream media records’ distort and reduce a series of events to the matter of regional selfishness. The story of Milyang interpreted as a social memory viewpoint can inquire into essence of the matter that it is an individual's daily life, destroyed by the efficiency of capital. This is in line with the process of archiving 'total documentation' by reconstructing the case of the ‘Milyang Power Transmission Tower construction conflict' from a gaze of Flâneu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회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