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흰쥐 뇌의 냉동 손상 후 발현되는 중간세사단백 (Expression of Intermediate Filament Proteins in Rat Brain after Cryoinjury)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31 최종저작일 2009.05
12P 미리보기
흰쥐 뇌의 냉동 손상 후 발현되는 중간세사단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소아신경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소아신경학회지 / 17권 / 1호 / 10 ~ 21페이지
    · 저자명 : 노규태, 황규근, 유기수

    초록

    목 적 : 뇌의 외상은 직접적인 기계적 손상, 실질내출혈 및 거미막 밑 출혈, 혈액 뇌 장벽 파괴, 흥분독성, 그리고 허혈 등을 일으키는 종합적인 손상이다. 지금까지 다양한 동물모델을 이용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그 기전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새로운 냉동 손상법을 이용하여 흰쥐 뇌에 외상을 유발시킨 후 신경아교흉터형성에 관여하는 중간세사단백인 신경교 섬유산 단백(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GFAP), 비멘틴 및 네스틴의 발현 양상을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하였다.
    방 법 : 실험동물로는 생후 2개월(평균 300 g)된 웅성 흰쥐(Sprague-Dawley)를 사용하였다. 흰쥐를 3.5% chloral hydrate(1 mL/100 g)로 복강내주사하여 마취시킨 후 두피를 절개하여 머리뼈를 노출시킨 다음 정수리점과 시옷점 사이에서 머리뼈 절제를 시행하여 왼쪽 전두엽을 노출시킨 뒤 액체 질소로 미리 얼려 두었던 직경 3 mm 철막대로 1분간 전두엽을 냉동 손상시켰다. 실험군은 냉동손상 후 경과시간에 따라 6시간, 24시간, 4일, 7일 및 14일군으로 분류하였고, 정상군을 실험군에 대한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뇌 조직을 연속동결절편으로 제작한 다음 GFAP에 대한 단세포군항체인 mouse anti-rat GFAP 항체와 비멘틴에 대한 mouse anti-rat vimentin, 그리고 네스틴 중간세사단백에 대한 mouse anti-rat nestin항체를 각각 적용시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였다.
    결 과 :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GFAP, 비멘틴 및 네스틴에 양성반응을 보이는 반응성 성상교 세포들이 냉동손상 후 6시간째에 출현하였다. GFAP 및 네스틴 양성반응세포들이 냉동손상 후 24시간째부터 증식을 시작하여 손상 후 4일째 최고치에 도달하였고, 손상 후 7일째에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비멘틴 양성반응세포들이 냉동손상 후 24시간째부터 증식을 시작하여 손상 후 4일째 최고치에 도달하였고, 손상 후 14일째에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반응성 성상교 세포는 냉동손상 후 4일째에 특징적인 형태학적 변화를 나타내었다.
    결 론 : 위의 실험결과로 미루어보아 GFAP, 비멘틴 및 네스틴 양성반응세포들은 신경아교흉터를 형성하는데 관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Purpose : Traumatic brain injury is a multifaceted injury that involves direct mechanical damage, intraparenchymal and subarachnoid hemorrhage, breakdown of the blood-brain barrier, excitotoxicity, and ischemia. Even though much investigations were performed, acceptable mechanical informations were ra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expression pattern of intermediate filament proteins associated with gliotic scars in cerebral cortex of rats after cryoinjury.
    Methods : A total of 18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300 g, 2 months old, were used throughout the experiments. To injure the brain, rats were anesthetized for surgery with 3.5% chloral hydrate(1 mL/100 g, intraperitoneally); the frontal bones were exposed by elevating the skin; and craniectomies were performed adjacent to the central suture, midway between lambda and bregma. A cryoinjury was then created by applying a cold probe(3-mm-diameter steel rod chilled in liquid nitrogen) to the left frontal cortex(ipsilateral cortex) for 1 min. Rats were sacrificed at 1, 4, 7 and 14 days postsurgery(n=3, per time point), and three rats were sacrificed as normal controls. Serial brain cryosections were made by cryostat. For immunohistochemistry, brain tissue sections were allowed to react with mouse anti-rat GFAP antibody(1:200), mouse anti-rat vimentin antibody(1: 200), and mouse anti-rat nestin antibody(1:200).
    Results : Reactive astrocytes expressing GFAP, vimentin and nestin appeared for the first time at 6 hours after cryoinjury. Proliferation of GFAP and nestin positive cells started at 1 day after cryoinjury, reached its maximum on day 4, and returned to normal level after the 7th post-injured day. Proliferation of vimentin positive cells started at 1 day after cryoinjury, reached its maximum on day 4, and returned to normal level after the 14th post-injured day. Characteristic morphological changes in reactive astrocytes were seen at 4 days after cryoinjury.
    Conclusion :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GFAP, vimentin and nestin positive cells attend in the formation of gliotic sca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소아신경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