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뇌기반 진화적 과학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 (Development of a Model of Brain-based Evolutionary Scientific Teaching for the Learning)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31 최종저작일 2009.12
21P 미리보기
뇌기반 진화적 과학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과학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29권 / 8호 / 990 ~ 1010페이지
    · 저자명 : 임채성

    초록

    이 연구에서는 뇌기반 진화적 교육 원리를 도출하기 위하여, 인간 뇌의 구조적·기능적 특징, 개체간과 개체내에서 일어나는 생물학적 진화, 뇌내에서 일어나는 진화적 과정, 과학 자체와 개별 과학자의 과학적 활동에 내재된 진화적 속성에 관한 연구물을 리뷰하였다. 이렇게 하여 도출된 인간 뇌의 주요 특징과 생성-선택-파지를 핵심 요소로 하는 보편 다윈주의 혹은 보편 선택주의를 토대로, 뇌기반 진화적 과학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모형은 세 가지 요소와 세 가지 단계 및 평가로 이루어진다. 세 가지 요소는 정의적, 행동적, 인지적 요소이고, 각 요소를 구성하는 세 단계는 다양화 → 비교·선택 → 확장·적용(ABC-DEF; Affective, Behavioral, Cognitive components - Diversifying → Emulating, Estimating, Evaluating → Furthering steps)이다. 이 모형에서 정의적 요소(A)는 인간 뇌에서 감성을 관장하는 대뇌변연계에 토대를 두고 자연 사물과 현상에 대한 학습자의 흥미·호기심과 관련된다. 행동적 요소(B)는 시각 정보를 처리하는 후두엽, 언어 정보의 이해·생성과 관련된 측두엽, 감각운동 정보를 처리하는 감각운동령을 수반하고 과학적 활동의 직접 해보기와 관련된다. 인지적 요소(C)는 사고, 계획, 판단, 문제해결과 관련된 전두엽합령에 토대를 둔다. 이 모형은 이러한 측면에서 ‘뇌기반(brain-based)’이다. 이 모형의 세 가지 각 요소를 구성하는 세 단계에서, 다양화 단계(D)는 각 요소에서 다양한 변이체를 생성하는 과정이고, 가치나 유용성에 비추어 비교·선택하는 단계(E)는 변이체들 중 유용하거나 가치 있는 것을 검증하여 선택하는 과정이며, 확장·적용 단계(F)는 선택된 것을 유사한 상황으로 확장하거나 적용하는 단계이다. 이 모형은 이러한 측면에서 ‘진화적(evolutionary)’이다. ABC 세 요소에 대해, 과학적 활동에서 감성적 요인이 출발점으로 갖는 중요성과 뇌에서 사고 기능과 관련되는 신피질에 비해 감성을 관장하는 대뇌변연계의 우세한 역할을 반영하여 DARWIN(Driving Affective Realm for Whole Intellectual Network) 접근법을 강조한다. 이 모형은 학교 현장에서 다루는 과학 주제와 학생의 특징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수준으로 융통성 있게 실행될 수 있다.

    영어초록

    To derive brain-based evolutionary educational principles, this study examined the studies on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human brain, the biological evolution occurring between- and within-organism, and the evolutionary attributes embedded in science itself and individual scientist's scientific activities. On the basis of the core characteristics of human brain and the framework of universal Darwinism or universal selectionism consisted of generation-test-retention(g-t-r) processes, a Model of Brain-based Evolutionary Scientific Teaching for the Learning(BEST-L) was developed. The model is consisted of three components, three steps, and assessment part. The three components are the affective(A), behavioral(B), and cognitive(C) components. Each component is consisted of three steps of Diversifying → Emulating (Executing, Estimating, Evaluating) → Furthering (ABC-DEF). The model is 'brain-based' in the aspect of consecutive incorporating the affective component which is based on limbic system of human brain associated with emotions, the behavioral component which is associated with the occipital lobes performing visual processing, temporal lobes performing functions of language generating and understanding, and parietal lobes which receive and process sensory information and execute motor activities of body, and the cognitive component which is based on the prefrontal lobes involved in thinking, planning, judging, and problem solving. On the other hand, the model is 'evolutionary' in the aspect of being proceeded according to the processes of the diversifying step to generate variants in each component, the emulating step to test and select useful or valuable things among the variants, and the furthering step to extend or apply the selected things. For three components of ABC, to reflect the importance of emotional factors as a starting point in scientific activity as well as the dominant role of limbic system relative to cortex of brain, the model emphasizes the DARWIN (Driving Affective Realm for Whole Intellectual Network) approa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과학교육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