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내 뇌졸중전문치료실의 현황 및 문제점: 대한뇌졸중학회 전국 급성기병원 대상 설문조사 결과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Stroke Units in Korea: Results of a Nationwide Acute Care Hospital Survey by the Korean Stroke Society)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31 최종저작일 2015.08
15P 미리보기
국내 뇌졸중전문치료실의 현황 및 문제점: 대한뇌졸중학회 전국 급성기병원 대상 설문조사 결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신경과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신경과학회지 / 33권 / 3호 / 141 ~ 155페이지
    · 저자명 : 이경복, 박희권, 이수주, 이건세, 나정호, 이병철, 정진상, 박태환, 배희준, 허지회

    초록

    Background: The patients who received organized inpatient care are more likely to survive and to be independent. The benefit is most apparent in units based in a discrete ward, stroke unit (SU). The observed benefit is sufficiently large to warrant efforts of widespread implementation of SU care. The Korean Stroke Society surveyed acute stroke care hospitals to know the density and the distribution of SU in Korea.
    Methods: One hundred-sixty one acute care hospitals were selected among those included in the 5th Quality Audit in 2014 by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of Korea. A senior director of stroke service in each hospital was chosen and asked about the current status of acute stroke care including SU and major obstacles to establish SU in each hospital.
    Results: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revealed the shortage of a total SU number and markedly uneven distribution of SU between rural and urban area. Most hospitals indicated the absence of the insurance reimbursement for medical service in SU, which served as the fundamental cause of lack of skilled manpower for establishing SU.
    Conclusions: The state-of-the-art SU, which is properly certified or designated, should be spread out more evenly in Korea for the optimal treatment of public regardless of a residential district. Government should encourage and support for the establishment of SU, which is an important first step toward making it reality.

    영어초록

    Background: The patients who received organized inpatient care are more likely to survive and to be independent. The benefit is most apparent in units based in a discrete ward, stroke unit (SU). The observed benefit is sufficiently large to warrant efforts of widespread implementation of SU care. The Korean Stroke Society surveyed acute stroke care hospitals to know the density and the distribution of SU in Korea.
    Methods: One hundred-sixty one acute care hospitals were selected among those included in the 5th Quality Audit in 2014 by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of Korea. A senior director of stroke service in each hospital was chosen and asked about the current status of acute stroke care including SU and major obstacles to establish SU in each hospital.
    Results: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revealed the shortage of a total SU number and markedly uneven distribution of SU between rural and urban area. Most hospitals indicated the absence of the insurance reimbursement for medical service in SU, which served as the fundamental cause of lack of skilled manpower for establishing SU.
    Conclusions: The state-of-the-art SU, which is properly certified or designated, should be spread out more evenly in Korea for the optimal treatment of public regardless of a residential district. Government should encourage and support for the establishment of SU, which is an important first step toward making it re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신경과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