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신간호학 기반 간호대학생의 조현기능 뇌 신경망 디자인: 뇌과학적 관점에서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based Nursing Students' coordination function Brain Neural Network Design: From a Brain Science Perspective)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31 최종저작일 2022.05
20P 미리보기
정신간호학 기반 간호대학생의 조현기능 뇌 신경망 디자인: 뇌과학적 관점에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2권 / 10호 / 755 ~ 774페이지
    · 저자명 : 김소연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정신⋅심리적 발달 및 신경생물학적 이해도가 높은 간호대학생의 독특한 특성을 활용해 환경 자극에 따른 그들의정서, 인지, 행동, 만족지연, 의사결정의 해석을 뇌과학적 관점에서 조현기능 뇌 신경망으로 디자인한 연구이다. 디자인한 각각의신경망에서 그들의 적응적 행동 변화의 동기와 조현기능을 분석하여 신경가소성을 활용한 비약물적 치료 중재 방안과 치유과정의근거 활용에 기여하고자 시도한 연구이다.
    방법 연구 목적에 따라 2021년 5월부터 2021년 7월까지 해부학, 병리학, 생리학, 정신간호학 교과목을 이수한 4학년 간호대학생14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환경 자극에 따른 경험과 해석을 깊이 있게 탐구하기 위해 self awareness report를 바탕으로포커스 그룹 면담과 개인 심층 면담을 추가하여 뇌과학적 관점에서 조현기능의 뇌 신경망을 디자인했다. 디자인한 자료는 특징적인의미, 주제, 규칙을 찾아 해석하는 질적 내용분석 방법으로(content analysis) 분석하였다.
    결과 1. 아드레날린 신경망과 도파민 신경망으로 디자인한 대학입시, 대학병원 취업, 경쟁, 스펙이라는 명사형 목적 틀의 왜곡된인지는 연구 참여자들의 투쟁-도피, 무기력, 외적보상, 정서적 허탈감으로 인한 스마트폰과 알코올로 회피의 부적응적 정서와 행동으로 나타났다. 2. 왜곡된 인지 변형의 터닝포인트는 세로토닌 신경망의 회복력으로 디자인했으며 자연, 여유, 이완, 틈을 허용, 안정, 더 넓은 시각, 틀에 박힌 사고의 전환, 자발적 즐거움, 유연한 사고의 키워드들이 외적보상과 명사형 획일화된 목표를 경계하고사고의 확장에 토대가 되었다. 3. 자율과 선택의 확장된 사고는 스스로를 피드백하는 습관을 만들고 실천이 어려운 자기조절, 만족지연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패턴의 쉬운 구조로 만들었다. 4. 자신만의 속도와 균형을 찾는 과정에서 생긴 내적 동기와 자신의 욕구가일치하는 경험적 표상은 삶을 유연하고 충실하게 하는 지속적 동력이 되었으며 이성과 감성의 조화로 환경과의 상호작용에서 적응적 합작을 구체화하였다.
    결론 1. 환경자극의 전환을 시도하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여 왜곡된 인지 변형을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2. 지역사회 정신건강 1차예방 사업으로 조현기능을 위한 뇌건강 모델을 조기 개입한다. 3. 뇌과학 전문가의 교육개입을 바탕으로 신경가소성에 대한 이해를넓히고 뇌 감동 교육과정의 개발과 교수학습 방법 적용, 평가 근거 루브릭을 재구성한다.

    영어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based on the self-awareness of nursing students who limited their dreams to a noun purpose tailored to a single coherent frame, the interpretation of their emotions, cognition, behavior, delay in satisfaction, and decision-making according to environmental stimuli from the perspective of brain science, It is a study that attempts to contribute to the use of evidence for non-pharmacological treatment interventions and healing processes using neuroplasticity by designing as a brain neural network for balancing reason and emo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14 fourth-year nursing students who completed all subjects in anatomy, pathology, physiology, and psychiatric nursing from May 2021 to July 2021 were selected as a purposeful sampling method. In order to deeply explore the experience and interpretation of environmental stimuli of study participants, a balanced brain neural network was designed from the perspective of brain science by adding focus group interviews and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based on the self-awareness report. The designed data was analyzed using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to find and interpret characteristic meanings, themes, and rules.
    Results The distorted perception of the noun purpose frame of university entrance exams, university hospital employment, competition, and specs, designed with adrenaline and dopamine neural networks, is the study participants' struggle-escape, helplessness, extrinsic rewards, and emotional exhaustion. The turning point of the distorted cognitive transformation was designed with the resilience of the serotonin neural network, nature, relaxation, relaxation, allowing for gaps, stability, broader perspective, conversion of stereotyped thinking, spontaneous pleasure, flexible The keywords of thinking became the basis for the expansion of thinking while being wary of external rewards and noun-type, uniform goals. Expanded thinking of autonomy and choice creates a habit of self-feedback and prevents behaviors such as self-regulation and delay in satisfaction that are difficult to practice. It was made with an easy structure of automatically performed patterns. The experiential representation that matches one's own needs with the intrinsic motivation generated in the process of finding one's own speed and balance became a lasting force that makes life flexible and fulfilling, and harmonization of reason and emotion As a result, adaptive collaboration was embodied in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Conclusions 1. We propose a new model that attempts to change environmental stimuli, and seek ways to transform distorted cognition. 2. Early intervention in the brain health model for the balance of reason and emotion as a primary prevention project for mental health in the community. 3. Expand the understanding of neuroplasticity based on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of brain science experts, develop a brain-impressing curriculum, apply teaching and learn methods, and reorganize the rubric for evalu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