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최재서의 일본어 번역표현 연구 - 이태준 「꽃나무는 심어놓고」와박화성 「한귀」의 번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hoi Jae‐seo’s Expressions of Translation in Japanese ‐ Focusing on his Translations of Lee Tae‐jun’s “Planted Flower Trees” and Park Hwa‐seong’s “Drought-god” -)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8.06
24P 미리보기
최재서의 일본어 번역표현 연구 - 이태준 「꽃나무는 심어놓고」와박화성 「한귀」의 번역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어문 / 77호 / 205 ~ 228페이지
    · 저자명 : 우시지마 요시미

    초록

    이 글은 1936년 최재서가 일본어로 번역한 이태준의 「櫻は植えたが(원제: 꽃나무는 심어놓고)」와 박화성 「旱鬼(원제: 한귀)」를 원작과 비교해 그 표현의특징과 최재서의 의도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최재서는 「한귀」 번역본에서 여성인물의 어투를 도시적으로 바꾼 반면 남성인물에게는 사투리를 사용하게 하고, 글을 읽을 줄 아는 농민임을 숨겼다. 최재서는 남성인물을 순박하고 도덕적인농부로, 여성인물을 지적이지만 가뭄으로 인해 토속신앙에 빠지고 만 아내로 표현했다. 그것은 일본인 독자의 조선인에 대한 멸시감정을 의식한 결과일 것이다.
    「꽃나무는 심어놓고」에서는 주인공이 실향하는 원인인 악덕지주가 일본인임을복자로 숨기지만 그것은 그 밖의 부분에서 복원이 가능하기도 하다. 최재서는제국의 탄압과 작가의 사명 사이에서 타협점을 모색했다. 최재서의 「한귀」 번역본에서 등장인물을 주로 일반명사로 서술되며 이는 독자와 등장인물의 거리를 멀어지게 하고 있다. 이 거리는 최재서가 느끼고 있는 일본인과 조선의 거리이기도 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compares Lee Tae‐jun’s “Planted Flower Trees” and Park Hwa‐seong’s “Drought-god” translated by Choi Jae-seo into Japanese in 1936,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ression and Choi Jae-seo’s intention. While Choi Jae-seo changed the tone of female characters to urban in the translation of “Drought‐god” in Japanese, he used a regional dialect for the male characters and hid the asset of the farmer who could read the text. While Choi Jae-seo expresses the male character as a simple, moral farmer, the woman character is expressed as an intellectual, but, she is expressed as a wife falling into a totem faith because of the drought. It may be the result of being conscious of the contempt that the Japanese readers might have against Joseon‐people. In the “Planted Flower Trees”, he hides the fact that the evil landlord, who is the cause of hero’s departure, is a Japanese as he deliberately uses an inverted-black-type, but it can also be restored from other parts. Choi Jae‐seo sought a compromise between the repression of the empire and the writer’s mission. In Choi Jae‐seo’s translation version of “Drought-god”, the characters are mostly marked as a general noun, which causes to get the distance between the readers and the characters. It would have been the distance between the Japanese and the Joseon people that Choi Jae-seo fel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어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