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똥거름과 밭농사로 본 1930년대 오가 한풍산록 (일본 아키타현)의 소농경제: 메타민속지와 생태인류학 (Peasant Economy through Human Manure and Upland Farming in the 1930’s at Oga Kanfuzan mountain(Akita, Japan): Meta-ethnography and Ecological Anthropology)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22.06
49P 미리보기
똥거름과 밭농사로 본 1930년대 오가 한풍산록 (일본 아키타현)의 소농경제: 메타민속지와 생태인류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비교문화연구 / 28권 / 1호 / 155 ~ 203페이지
    · 저자명 : 전경수

    초록

    본고는 1930년대 일본의 동북지방에 있는 농촌에서 이루어진 소농경제의 일 측면을 검토하고자 한다. 밭농사를 하는 소농의 일기와수기를 바탕으로 기본적인 분석을 위한 자료를 추출하였다. 밭농사에필수적인 영양소로서 똥거름에 관한 자료와 소농이 경영하였던 밭의규모에 관한 자료들을 분석하였다. 이 자료들을 분석하는 기본적인 관점은 생태인류학, 그 중에서도 ‘에너제틱스’ 모델이라는 방식을 채용하고, 그 기본적인 아이디어를 원용하였다. 일기와 수기의 저자인 요시다 사부로의 가족이 밭의 주변에서 살아가는 살림살이의 모습이 비교적 세밀하게 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일년동안에 약 3300평의밭에 투입된 똥거름의 총량은 100짐(한짐은 똥통 두개 분)에 해당되며(=16말), 그것을 생산한 사람의 숫자로 환산하면 17명분 정도가 된다.
    이 숫자는 과학적으로 계산된 일인당 배설하는 똥의 양과 거의 비슷한수치를 제공하고 있다. 주로 인분뇨가 수집된 가구는 네 가구로서, 지근의 친척관계에 있는 가정으로부터 수집되었다.
    밭농사 일을 하는 농민이 똥을 푸고, 거름을 만들어서, 밭작물에 영양분을 제공하는 과정에 똥거름과 밀접한 관계를 보여주는 민속지적 서술은 인간과 도구 그리고 식물 사이에 연계되어 있는 환류작용을보여주기에도 충분하다. 손으로 도구를 잡고 식물을 상대로 일을 하는과정에 드러나는 연쇄작동에 대해서는 이미 적지 않은 보고들이 있지만, 연쇄작동 이후 행동을 하는 인간이 어떻게 도구와 식물과 주변의환경으로부터 세상을 인지하는 과정에 이르는가에 대해서는 본고에서감각환류라는 개념으로 설명하였다. 즉 연쇄작동과 감각환류는 하나의 셋트를 구성함으로써, 앞으로 인지인류학 분야의 검토가 요구되기도 한다.
    요시다 사부로가 제작한 민속지 두 권은 모두 아칙쿠뮤제아무에서 발행되었다. 이 조직은 시부사와 케이조가 설립한 것이며, 1930년데에 꾸준히 민속지들을 제작하였다. 케이조가 집중하였던 사회적 사실을 기반으로 한 민속지들이 갖는 인류학사적인 의미에 대해서도 천착하는 노력을 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 product of a kind of meta-ethnography aiming at investigating ethnographies about the Japanese peasant economy during the 1930’s in a hamlet at the Northeastern corner of Akita Prefecture of Japan. There are two ethnographies written in the 1930’s by Yoshida Saburo who managed a small patch of upland for the substance economy for family consumption with a partial market trade. Two ethnographies were published by the Attic Museum established by the banker Shibusawa Keizo(1896-1963) who was the key supporter for the ethnology in Japan at that time. This author interested in ecological anthropology tries to analyze Yoshida’s ethnographies in order to quantify the total amount of fertilizers which are mainly from human manure collected from relatives and neighbors. As a result, this author could get meaningful and appropriate amounts of quantified data of human manure for fertilizer in the field crops cultivated in the upland on montane slope.
    Yoshida worked for upland farming for year round with his wife being left behind two crying babies at home and collected about 200 buckets(=288 litters) of human manure mainly from 4 households equivalent to the amount from 17 individuals in a year. The numbers are quite close to the scientific data about human excrement per person in a year. Yoshida collected human excrement from each household and cleaned the toilet after collecting and then brought them.with a carrying container of two buckets with a long stick on his shoulder to a storage tank to keep them for a while to ferment them turned into fertilizer for the plants on the land. Whenever he spreaded out the human manure, he mixed them with water(mainly 1:1 ratio) from a water tank beside the manure tank within the upland site. The detailed information from Yoshida’s ethnographies could tell us even enough about his experience to have tasted the excrement while he was scooping human excrement from the toilet into buckets. His ethnographic description is very meaningful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the concept of chain operation created by an archaeologist between tools as implement and hand as a human body.
    This author would like to suggest and expand Yoshida’s experience of chain operation to the level of mental feedback to the brain to understand how human beings cognize the surroundings and environment around them. This idea should be in the future able to reach the field of cognitive anthropology connected to ecological anthropology.
    This paper has finally also learned about the importance of the personal diary as an ethnography based on the peasant economy running on a small scale upland farming and furthermore recognized the concept of social fact based on ethnography supported by the Attic Museum in the realm of history of anthropology in Jap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