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여성농민의 사회적 정체성 형성과 여성농민운동의 발전-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전여농)을 중심으로 (Formation of Social Identity of Women peasants and Development of Women Peasants Movement- Focusing on the Korean Women Peasant Association)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0.06
41P 미리보기
여성농민의 사회적 정체성 형성과 여성농민운동의 발전-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전여농)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농촌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농촌사회 / 20권 / 1호 / 89 ~ 129페이지
    · 저자명 : 박신규, 정은정

    초록

    본 연구는 여성농민의 사회적 정체성 형성과 변화라는 개념을 가지고 여성농민운동사를 살펴보았다. 여성농민의 사회적 정체성의 ‘형성’과 ‘변화’라는 개념으로 여성농민운동사를 고찰하는 것은 여성농민의 사회적 정체성 형성과정이 운동 조직을 통하여 개인들의 주체화 과정을 드러내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행위자의 해석과 능동적인 행위가 여성농민운동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바라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연구방법으로 문헌연구와 심층인터뷰, 그리고 참여관찰이라는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1970년대는 농촌의 근대화 과정에서 농촌여성을 계몽과 농촌 개발 사업의 대상으로 설정된다. ‘농촌부녀’의 위치에서 ‘배우는 농촌여성 되기’로, 즉 계몽의 대상으로 표상된다. 1970년대 후반에 이르러 여성농민조직이 생겨나고 1980년대 사회운동의 발전과 더불어 여성농민운동도 사회의 한 부문운동으로 발전한다. 비로소 여성농민들은 농업현실의 당사자임을 인식하면서 ‘농민’의 정체성을 회득하고, 남성농민 혹은 가부장제의 성차별 구조와 현실 또한 직시하면서 ‘여성’의 정체성도 동시에 형성한다.
    1980년대 운동과 조직화의 역량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면서 1990년대에 이르러 여성농민운동은 자주적 여성농민운동으로서 독자조직을 결성하고 여성농민들의 생산자로서의 지위향상, 사회참여 등을 실현하기 위한 운동을 펼쳐나간다. 1980년대 중반을 넘어서면서 한국사회의 농업·농촌이 급격한 세계화 흐름에 가장 먼저 놓이게 되면서 전체 농민운동은 수입개방농정 반대라는 단일대오의 운동이 형성되었고, 이에 여성농민운동 진영 또한 적극적인 투쟁을 하게 된다. 외세와 가부장제라는 이중의 경계긋기를 설정하고 자주적 여성농민이라는 사회적 정체성을 기획하려 하지만 세계화 흐름에 가장 먼저 농업·농촌이 휩쓸리게 되면서 오히려 80년대에 비해 여성농민, 혹은 자주적 여성농민이라는 정체성을 구현해내는데 한계를 지닌다.
    2000년대부터 현재 시점에 이르는 여성농민운동 진영은 ‘씨앗을 지키는 여성농민’을 내세움으로써 경계와 연대를 통해 정체성을 기획하고 확장하게 된다. 투쟁만으로는 지금의 농업현실을 풀어나갈 수 없다는 인식이 넓게 형성되면서 ‘대안을 만드는 투쟁’을 내세운다. 이런 투쟁과 대안이 함께 해야 한다는 패러다임의 전환은 여성농민의 사회적 정체성 형성에 결정적 계기를 제공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history of women peasants movement(WPM) in Korea with the concept of the 'forming' and 'changing' social identity of women peasants. It means the forming process of the women peasants' social identity has revealed the subjectification process of the people through the social organization, and it sees the interpretation and active actions have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WPM. This study use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such as literature review, in-depth interview, and participant observ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Rural women had been targeted as the object of rural development projects during the rural modernization era in 1970s. They were projected as from rural women to 'learning rural women'-the object of enlightenment'. By the late 1970s rural women's organizations were formed, into the sub-sector of the social movement as the growth of social movements in Korea during 1980s. Not until then women peasants had got the 'peasants' identity realizing themselves as the subjects of the agrarian reality. Also they had got the 'female' identity realizing the gender-biased structure of the rural patriarchy.
    Since the rapid growth of the members and organizing ability in 1980s, WPM had been spread around the independent organization as an autonomous subject of the social movement through the motto of enhancing social status and participating as women agricultural producers in 1990s. The whole peasant movement of Korea had set the frontline against open market agricultural policy as Korean rural society and agriculture were attacked by rapid globalization trend, so had WPM. It set out the dual frontline as outer force and patriarchy and projected the social identity as autonomous women peasant, but it could be successful as the Korean agriculture․rural society fell to the victim of the globalization.
    The social identity of WPM has been recast and extended as the symbol of 'seed-keeping women peasants' through bordering as well as associating. WPM has put ahead the concept of 'struggles that make alternatives' because of the realization that struggles only cannot solve the agrarian problems. This kind of paradigm shift area border and solidarity has provided the critical momentum for reforming the social identity of women peasa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