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농 간 균형성장을 위한 중국 신농촌건설과 1970년대 한국 농촌새마을운동의 비교연구 (A Comparison between 1970s’ Korean Rural Saemaeul Movement and China’s New Countryside Construction for a Balanced Urban Rural Growth)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2.06
29P 미리보기
도·농 간 균형성장을 위한 중국 신농촌건설과 1970년대 한국 농촌새마을운동의 비교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 / 35권 / 2호 / 197 ~ 225페이지
    · 저자명 : 최계련

    초록

    1978년 개혁·개방(改革開放) 이후 중국경제는 지속적으로 고도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도·농 간, 지역 간 불균형성장 문제도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중국정부는 2006년부터 전국 농촌에서 신농촌건설(新農村建設)을 추진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중국의 신농촌건설은 정부주도로 추진되었던 1970년대 한국 농촌새마을운동의 성과와 비교해볼 때 그 성과가 매우 미미하다. 특히 효율적인 한국 정부지원하에 농가소득 증대를 통한 도·농 간 균형성장이 이루어지게 되었다는 점에서는 농촌새마을운동의 성과가 매우 크다. 이러한 성공 사례를 면밀하게 살펴보면 도·농 간 균형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중국의 신농촌건설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도·농 간 균형성장 면에서 1970년대 한국 농촌새마을운동과 중국 신농촌건설의 경제적 배경, 추진 내용 및 경제적 결과를 비교·분석하여 신농촌건설을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비교·분석의 결과는 양국 정부가 추진한 사업 내용·방식 등과 양국 농촌 상황의 상이성으로 인해 한국은 농촌새마을운동을 통해 도·농 간 균형성장이 이루어졌으나, 중국은 신농촌건설이 도·농 간 불균형성장의 시정에 크게 기여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이를 바탕으로 첫째, 중국 정부와 농민의 협력이 필요하고, 둘째, 중국정부의 지원 방식이 전환될 필요가 있고, 셋째, 중국 농민의 정신계발이 절실하다는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영어초록

    The Chinese economy has been continuing its rapid growth since the reforms and opening up(改革開放) in 1978. However, the urban-rural and interregional growth discrepancy problem appeared contemporarily. In order to solve the emerging problems, the Chinese Government began to promote the “New Countryside Construction”(新農村建設) in all the rural areas since 2006. Nevertheless, the result of China’s “New Countryside Construction” seems to be less significant than Rural Saemaeul Movement, which was promoted by the Korean Government in the 1970s. Expecially, the achievement of a urban-rural balanced growth made possible by an efficient support of the Korean Government was remarkable. I believe that this successful case may give us some implications for the urban-rural balanced growth in China’s “New Countryside Construction,” if we study it thoroughly.
    In this study, the implications for China’s “New Countryside Construction” were mainly found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regarding the following points: the economic backgrounds, the content of promotion, the economic results of 1970s’ Korean Rural Saemaeul Movement and China’s “New Countryside Construction.” The result of this comparison is, that the urban-rural balanced growth was reached through Rural Saemaeul Movement, while the urban-rural balanced growth was not corrected through China’s “New Countryside Construction.” And this is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omoting content, way, etc of the two governments and the rural conditions of the two countries. Based on this result, the three implications were suggested as follows. Firstly, the Chinese Government and peasants should cooperate with each other. Secondly, the way in which the Chinese Government intervenes should be changed. Thirdly, the Chinese peasants should receive an adequate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