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계농식품체계의 역사적 전개와 먹거리위기 ― 대안의 모색 : 식량안보에서 식량주권으로 (The Food Crisis and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Global Agri-Food system ― From Food Security to Food Sovereignty)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2.06
46P 미리보기
세계농식품체계의 역사적 전개와 먹거리위기 ― 대안의 모색 : 식량안보에서 식량주권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농촌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농촌사회 / 22권 / 1호 / 265 ~ 310페이지
    · 저자명 : 송원규, 윤병선

    초록

    세계농식품체계의 형성과정에 대한 역사적 분석은 현재 먹거리 위기의 근원적인발생원인을 규명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고리라 할 수 있다. 세계농식품체계의 형성에서 미국의 그린파워전략이 주요한 역할을 했고, 그린파워 전략의 귀결점이었던 다자간 농업협상에 의해 초국적 농식품복합체의 농업지배가 강화되었다. 특히 최근의 식량위기에 대한 면밀한 분석은 위기의 원인이 단순히 수급불균형이 아닌 세계농식품체계의 구조에 기인하고 있다는 점을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다. 끊임없는 농업개발과 녹색혁명에 의한 생산성의 증대에도 불구하고 식량위기가 발생하고 있는 현실의 배후에는 태생적으로 불안정성을 지닌 세계곡물시장의 특성과 이 시장의 권력이 소수의 수출국가와 초국적 농식품복합체에 집중되어 있는 세계농식품체계가 자리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식량위기의 극복을 위한 먹거리 패러다임의 변화와 농식품체계의 전환의 필요성을 논증하고, 대안 농식품체계 모색의 과정에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식량주권에 대한 검토를 통해 대안운동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식량권, 식량안보, 식량주권에 대한 비교 검토를 통해서 식량주권운동의 과제에 대해서도 제시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Historical analysis of the processes of the formation of global agri-food system is essential in grasping the primal cause of current food crisis. The Green Power Strategy of U.S. ha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making of the global agri-food system. During this process, transnational agri-food conglomerates have intensified their domination of food and agriculture in the world. The recent food crisis clearly shows that the cause of the problem is structural, rather than the imbalance between supply and demand. In spite of the increased productivity by agricultural development and green revolution, the current agri-food system is inherently vulnerable to food crisis. The food crisis is largely due to the unstable world grain market, which is manipulated by a handful of exporting nations and powerful transnational agri-food conglomerates.
    This paper have argued that we need a paradigm shift in food as well as the transformation of agri-food system in order to overcome the food crisis.
    We have attempt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lternative agri-food movement by re-examining the concept of food sovereignty at both theoretical and empirical level. Furthermore, we have contemplated the future task of food sovereignty movement by comparing the concepts of food right, food security,and food sovereign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농촌사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