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부 농어촌 지역 전통시장 상인의 구강건강관련 지식·태도·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ubjective Oral Health-related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in Traditional Market Traders in Some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9.12
17P 미리보기
일부 농어촌 지역 전통시장 상인의 구강건강관련 지식·태도·행동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서(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도서연구 / 31권 / 4호 / 259 ~ 275페이지
    · 저자명 : 구인영

    초록

    본 연구는 전통시장 상인들의 구강건강문제와 구강질환의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구강건강에 대한 지식 및 관리 행태를 향상시키고 나아가서는 성인 구강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일부 농어촌 지역의 상인들을 대상으로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 관련 지식·태도·행동에 대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일부 농어촌 지역의 전통시장 중에서 상인회를 운영하는 시장을 중심으로 회수된 500명의 결과를 분석대상으로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성별, 연령, 학력, 경제상태, 정기적 건강검진), 주관적 구강건강상태(발음, 저작, 동통, 구취) 및 구강건강지식·태도·행동을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 조사문항의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교차분석, t검정, One-way ANOVA, Scheffe의 사후 검정, 단순회귀분석을 통하여 가설을 검증하였고, 통계적 유의 수준은 p<.05로 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구강건강상태 비교는 연령(F=4.226)과 학력(F=5.059)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일반적 특성과 구강건강 지식 평균 비교는 연령(F=4.241)과 학력(F=5.589), 경제상태(F=3.506)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구강건강 태도 평균 비교는 성별(t=-2.789), 연령(F=3.482)과 학력(F=5.414), 경제상태(F=4.174)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구강건강 행동 평균 비교는 성별(t=-3.887), 학력(F=7.397), 정기적 건강검진(t=3.880)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구강건강 지식에 미치는 영향은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t=-2.488)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수준이 안 좋을수록 구강건강 지식 수준은 낮게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상인들의 구강건강상태 증진을 위해서 올바른 구강건강관리 지식의 전달이 필요하고 구강 질병의 조기발견 및 예방처치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향상이 중요하다. 또한 구강질환 및 치료에 대한 필요성을 교육하며, 연령층에 맞는 구강보건 프로그램 및 지속적인 구강보건교육의 제공과 활발한 홍보사업을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related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of traders in some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to improve their knowledge and management attitude to oral health. This also necessitated understanding the traditional market traders’ oral health problems and the risk factors of oral diseases and further provide the baseline data that could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adult oral health. As for the subjects of the study, the results of a survey of the markets’ operating traders’ associations collected from 500 persons in some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were used as the subjects of analysis. As for the research tools, this study investigated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sex, age,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economic conditions, and regularity of health examinations),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pronunciation, mastication, pain, and halitosis) and oral health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As for the data analysis methods, the hypotheses were verifi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of questionnaires, reliability analysis, x2-test, t-test, One-way ANOVA, Scheffe’s post-test,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p<.05. In a comparison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oral health statu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F=4.226) and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F=5.059). In a comparison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average oral health knowled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F=4.241),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F=5.589), and economic condition(F=3.506). In a comparison of the average oral health attitud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ex(t=-2.789), age(F=3.482)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F=5.414), and economic condition(F=4.174). In a comparison of the average oral health behavio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ex(t=-3.887),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F=7.397), and regular health examination(t=3.880). It turned out that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had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oral health knowledge(t=-2.488) so the lower the level of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the lower the level of oral health knowledge became. Based on the above results, to improve the traders’oral health status, it is necessary to deliver proper oral health care knowledge, and it is important to detect oral diseases early and to improve their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preventive measures. In addition,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teach them about oral diseases and the need for treatment.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oral health program for each age group, to provide continuous oral health education, and to develop and apply an active promotion proje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도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