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농석 이해영의 사회학: ‘한국사회조사사’의 측면에서 (The Sociology of Hae-Young Le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6.08
39P 미리보기
농석 이해영의 사회학: ‘한국사회조사사’의 측면에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학 / 50권 / 4호 / 27 ~ 65페이지
    · 저자명 : 김인수

    초록

    이 글은 이해영 교수(1925~1979)의 연구와 활동을 사회조사사의 관점에서 조명한다. 이해영 교수의 사회조사 활동은 1954년 한국 서해지역의 도서(島嶼) 탐사로부터 출발한다. 이 조사는 인류학적 조사의 형태를 띠었다. 또, 그는 1959년에 고황경, 이만갑, 이효재 등과 함께 한국의 농촌가족에 대한 조사를 수행했는데, 이것은 한국에서 이루어진 최초의 체계적인 조사로 알려져 있다.
    이해영 교수가 본격적으로 사회조사 활동에 돌입한 것은 미국 인구협회의 재정적 후원으로 1965년에 인구연구소(1968 인구및발전문제연구소; 1995 사회발전연구소)를 설립하면서부터이다. 그가 이 연구소의 소장으로 재직하면서 수행한 사회조사로는 경기도 이천의 출산력조사(1965 제1차 조사, 1974 제2차 조사)가 대표적이다. 이해영 교수는 이 조사작업을 토대로 당시 정부의 가족계획사업의 한계를 비판했고, 사회통계에 관한 방법론적 비평작업을 수행해나갔다. 또, 이해영 교수는 한국사회를 분석할 데이터의 수집과 학문후속세대의 양성에 심혈을 기울였다. 그는 사회조사를 위해 필요한 재정, 학술, 인력을 조직하고 관리하며 그 성과를 학계 전반에 확산시켰던 이른바 ‘기획자’였다. 또, 이해영 교수의 작업과 그가 선 자리는 한국에서의 ‘지식국가’의 출현국면을 지시한다.
    한편, 이해영 교수가 수행한 사회조사는 대체로 외원기관(外援機關)으로부터 재정을 지원받아 수행되었다. 이 점은 그의 학술활동에 국제관계의 비대칭성이 투영되었음을 시사한다. 이해영 교수의 조사사업을 포함하여, 이러한 조건이 당시 사회조사 활동을 어떻게 제약했는지, 그리고 외부로부터 주어진 연구질문을 이들 주체들이 어떻게 수용하고 전유했는지는 향후 깊이 있게 분석해야할 지식사회학적 과제로 남아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research and activities of professor Hae-Young Lee (1925~1979)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research/survey history. Social research activities of Lee had started from island investigation of the West Sea area of South Korea in 1954 as an anthropological research. In addition, he had investigated on the Korean rural family with Hwnag-Kyung Ko, Man-Gap Lee and Hyo-Jae Lee. This is known as the first systematic social survey conducted in South Korea.
    Professor Lee had started full-scale social research activities since he established the Population Studies Center in 1965 (1968. Population and Development Studies Center; 1995. Institute for Social Development Research) with the financial support of the US Population Council. Social survey that he executed for the first time as the director of this institute was fertility survey of Icheon-up, Gyeonggi-do in 1965. On the basis of this survey, he criticized the limits of the family planning policy of government and performed the tasks of methodological criticism on social statistics. Besides, Professor Lee had focused on collecting data to analyze the Korean society and training academic subsequent generation. In conclusion, he was the so called “planner” who organized and managed financial, academic, human resources necessary for social survey, diffusing the results of it to academic community.
    Meanwhile, social researches conducted by Professor Lee were largely carried out by financial support from foreign aid organizations. It suggests that asymmet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had been projected in his academic activities. Including the research activities of Professor Lee, there were a few remained problems to be further analyzed in the perspective of sociology of knowledge: (1) how social research activities were constrained by knowledge production conditions at the time; (2) how the research question given from the outside was accepted and appropriated by the agents of these social research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