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회적농업에서 사회연대농업으로 - 농시민 주체화를 통한 농(農)과 사회의 연대로 나아가기 (From Social Farming to Social Solidarity Farming - Toward Solidarity between Agriculture, Rural, Peasants(commonly, Nong(農)), and Society with the Subjectivization of Nong Citizens)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24.09
48P 미리보기
사회적농업에서 사회연대농업으로 - 농시민 주체화를 통한 농(農)과 사회의 연대로 나아가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판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제와 사회 / 143호 / 255 ~ 302페이지
    · 저자명 : 이해진

    초록

    이 연구는 사회적농업을 농과 사회의 연대를 회복하는 실천 전략으로 문제틀을 설정하고 사회적농업의 대안적 개념화와 농의 사회화 방안을 탐구한다. 사회적농업을 농의 가치를 실현하고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활동으로 정의하면서, 사회적농업 참여자의 변화를 중심으로 사회적농업의 사회적 가치를 분석했다. 기존의 기능주의적인 사회적농업 개념을비판하고 사회연대농업을 대안적 개념화로 제시했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사회적농업이 구성하는 농시민 주체화와 이들이 창출하는 사회적 가치에 주목했다. 이를 위해 청년 사회적농업의 현장인 충북 제천의 청년마을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질적연구 방법을 활용한 경험적인 분석을 했다. 분석 결과, 청년들의 사회적농업 참여 동기는 자본주의적 삶의 바깥에서 대안적인 다른 삶을 추구하는 것이었다. 사회적농업에 참여한 청년들은 능력주의로부터 해방된 능동적 주체화, 호혜적 관계와 대안적 삶의 방식, 농시민 주체화를 경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서로 돌봄의 호혜성, 공동자원의 재분배, 혁신과 참여의 효능감 요인들이 이러한 사회연대농업과 농시민이 사회적 가치를 발명하도록 이끈 조건이라고 해석했다. 이를 통해 사회연대농업이 능력주의와 불평등의 사회문제에 대응하고 농의 가치를 사회화하는 농시민을 형성함으로써 농과 사회의 연대 및 지속가능성을 창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발견했다. 결론에서는 사회연대농업을 비판적인 연구와 급진적인 실천으로 확장하기 위해 농의 사회화, 사회연대경제, 사회운동과의 연계 속에서 발전 전략을 제시했다.

    영어초록

    This study frames social farming as a practice strategy to restore solidarity between Nong and society and explores alternative conceptualizations of social farming and ways to socialize of Nong. Defining social farming as an activity that realizes the value of Nong and creates social value, this study analyzes the social value of social farming by focusing on the changes of social farming participants. It criticizes the existing functionalist and integrative concept of social farming and proposes Social Solidarity Farming(SSF) as an alternative conceptualization. This study paid particular attention to the subjectivization of Nong citizens and the social values that social farming creates. To this end, it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ith participants in the Youth Village in Jecheon, Chungcheongbuk-do, a site of youth social farm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youth’s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in social agriculture was to pursue an alternative, self-reliant life outside of capitalist life. The youth who participated in social farming experienced active subjectivization, reciprocal relationships, alternative ways of life, and the formation of Nong citizenship, liberated from meritocracy. The factors of reciprocity of care, redistribution of common resources, and the experience of efficacy of innovation and participation were interpreted as the conditions that led to the invention of social values by SSF and Nong citizens. Through this, we found that social farming has the potential to create solidarity and sustainability between Nong and society by responding to social problems of meritocracy and inequality and forming Nong citizens who socialize values of Nong. In the conclusion, strategies for development in the context of socialization of Nong, social solidarity economy, and social movements were proposed to expand SSF into critical research and radical practi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제와 사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