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발달지연 아동의 사회성 증진을 위한 비구조화 소집단 놀이치료의 효과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 of Unstructured Small-group Play Therapy on Social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6.06
24P 미리보기
발달지연 아동의 사회성 증진을 위한 비구조화 소집단 놀이치료의 효과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 수록지 정보 :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 9권 / 1호 / 123 ~ 146페이지
    · 저자명 : 김지신, 김아연, 김현진, 민그래

    초록

    본 연구는 비구조화 소집단 놀이치료가 발달지연 아동들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유아 및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들 5명이며, 사회성 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2개 집단으로 나누어 총 20회기와 32회기로 소집단 놀이치료를 실시하였다. 비구조화 소집단 놀이치료를 통해 나타난 변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집단은 지적 장애 또는 자폐성 장애가있는 아동들 2명이다. 치료 초기에는 병행 놀이처럼 진행되었으며, 회기가 진행되면서 아동들은상대 아동의 소리와 움직임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이후 상대 아동의 놀이 및 언어 표현 모방, 자신의 놀이로의 초대, 상대 아동의 관심을 유도하는 행동 증가 등 긍정적인 변화를 볼 수 있었다.
    2집단은 언어․인지․사회성 면에서 발달 지연을 나타내고 있는 3명의 아동들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함께 놀이하고 싶은 욕구는 있으나 관심 범위가 제한적이고 놀이방법이 미숙하였다. 치료 초기에는 상대 아동과 갈등 상황을 많이 겪게 되었는데, 회기가 진행되면서 아동들은 맥락에 맞는 언어 사용 및 자신의 요구와 감정에 대한 표현이 증가하였고, 또래 간 갈등상황이 감소되는 변화를보였다. 비구조화 소집단 놀이치료의 진행을 통하여 치료자가 자연스러운 놀이상황에서 놀이를 주도하지 않고 아동의 주도성을 격려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아동들로 하여금 사회적 상황에 대한 이해와 적응행동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발달지연 아동들의 특성을 고려해 비구조화된소집단 놀이치료를 진행하고 그 효과성을 탐색한 기초 연구라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unstructured small-group play therapy on social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Subjects were five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ir level of social development and play therapy was administered to each group for 20 and 32 sessions respectively. For Group 1 of two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r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sessions were conducted like parallel play at the early stage and the children started to become interested in sound and movement of their partners over time. After the session, they showed positive changes such as imitation of their partners’ play and language expressions, invitation to their play, and increase in behaviors to attract their partners’ attention. Group 2 consisted of three children who had developmental delay in language, cognition, and social development. They had desire to play together, but the range of their interest was limited and they were inexperienced in how to play with others. At the early stage of the therapy, they had lots of conflicts with play partners. As the sessions went, however, their use of proper language and expression of their needs and emotions increased while conflicts between play partners decreased. These findings imply that encouragement of the children’s initiative by the therapist in the natural play setting improved the children’s understanding of and adaptation to social contexts.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is a basic study that conducted unstructured small-group play therapy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and explored its effective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7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