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동의 놀 권리에 대한 헌법적 보장 연구 (A Constitutional Study on the Children’s Rights to Pla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20.07
27P 미리보기
아동의 놀 권리에 대한 헌법적 보장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헌법재판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헌법재판연구 / 7권 / 1호 / 179 ~ 205페이지
    · 저자명 : 정기상

    초록

    대한민국 어린이헌장 제5조에서는 “어린이는 즐겁고 유익한 놀이와 오락을 위한 시설과 공간을 제공받아야 한다.”고 정하고 있다. 이는 우리 사회의 미래이고 소망인 아동에게 놀이가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는 것을 되새기게 한다. 아동의 인격 발달과 발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놀이를 제도적으로 보장하는 작업은 아동의 놀 권리에 대한 기본권적 지위를 확인하는 데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아동의 놀 권리는 헌법 제12조 제1항 전문에서 정한 신체의 자유, 헌법 제17조에서 정한 사생활의 자유 및 헌법 제10조의 행복추구권에서 파생되는 일반적 행동자유권에 근거한 구체적인 권리로서의 실질을 가지므로 기본권으로 인정될 수 있다. 아동이 놀 권리의 주도적 행사가 가능할 정도로 신체적・정신적으로 성숙하였다면 놀 권리의 기본권행사능력을 인정하여야 한다. 아동의 놀 권리는 인격의 형성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교육받을 권리와 그 실현가치를 공유한다. 부모의 자녀양육권도 아동의 행복을 궁극적인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아동의 놀 권리와 충돌하는 것은 아니지만, 현실에서 두 기본권의 충돌사례는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결국 두 기본권이 조화롭게 양립할 수 있도록 아동의 주체적 의사결정능력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부모의 자녀양육권을 아동의 놀 권리에 양보하여야 한다고 본다.

    영어초록

    Article 5 of the Korean Children’s Charter stipulates, “Children should be provided with facilities and space for fun and beneficial play and entertainment.” This reminds that play has important value for children who are the future and wish of our society. The work of institutional assurance of play that has a decis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and expression of a child’s character should begin with identifying the basic rights status of the child’s right to play.
    A child’s right to play can be recognized as a basic right because it has the substance of a specific right based on the freedom of the body set out in the text of Article 12 paragraph 1 of the Constitution, the freedom of privacy set out in Article 17 of the Constitution, and the right to general freedom of action derived from the right to pursue happiness in Article 10 of the Constitution. If children have matured physically and mentally enough to take the initiative in the right to play, they should recognize their basic rights to play. Children’s rights to play share their rights to be educated and their real value in that they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personality. Parents’ right to adopt children does not conflict with children’s right to play in that it is the ultimate goal for children’s happiness, but in reality, the two basic rights clash is not difficult to find. In the end, if a child’s self-contained decision-making ability is recognized so that the two basic rights can be harmonized, the parent’s right to child care should be conceded to the child’s right to pl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헌법재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