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세기 파르테논 다채색 논쟁에 대한 미술사적 고찰: 『수정궁 그리스관의 채색에 대한 해명』(1854)을 중심으로 (An Art Historical Study on the Polychrome Controversy of the Parthenon in the 19th Century: Focusing on an Apology for the Colouring of the Greek Court in the Crystal Palace(1854))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8.12
27P 미리보기
19세기 파르테논 다채색 논쟁에 대한 미술사적 고찰: 『수정궁 그리스관의 채색에 대한 해명』(1854)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연구 / 35호 / 295 ~ 321페이지
    · 저자명 : 조은정

    초록

    본 논문은 1854년 개장한 시드넘 수정궁 박람회장의 파르테논 프리즈 채색 복원 모델과 이를 둘러싼 19세기 그리스 건축과 조각에 대한 다채색 논쟁을 고찰한다. 이 복원 모델은 수정궁 고대 문명 전시실들을 포함해서 예술분과의 총감독을 맡았던 건축가 오웬 존스가 제작한 것으로서, 전면적인 채색으로 인해서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19세기 초 유럽 고고학계에서는 독일과 프랑스 학자들을 중심으로 그리스 미술의 채색 장식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일어났는데, 특히 그리스 미술의 최고 정점으로 인식되어 온 페리클레스 시대 아테네 조각과 건축이 첨예한 이슈가 되었다. 당시 영국 고고학계는 기존의 고전주의적 관점을 고수하고 있었으나, 이러한 유럽 학계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1836년 영국 왕립건축가협회 주관으로 영국박물관에 소장된 엘긴 대리석상들을 조사한 바 있었다. 영국 박물관 소장 유물과 아크로폴리스 고대 유적 발굴 사업의 최신 성과물들에 대한 화학적 분석까지 포함해서 위원회는 아케익기와 고전기 그리스 건축물이 채색 장식되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파르테논의 프리즈와 메토프, 페디먼트 조각에서는 채색된 흔적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론을 내렸다. 그러나 존스는 이러한 조사 위원회의 주장을 반박하고, 인체의 피부를 포함해서 전면적으로 채색 장식된 프리즈 부조 복원 모델을 수정궁 그리스관에 전시했다. 좁은 갤러리의 벽면을 따라서 관람객들의 눈높이보다 훨씬 높이 설치된 이 모델들은 파르테논의 원래 건축적 환경과 최대한 가까운 조건에서 관객들이 직접 시각적 경험을 하도록 만든 것이었다. 존스는 이와 더불어 『수정궁 그리스관의 채색에 대한 해명』(1854)이라는 소책자를 통해서 자신의 시도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했다. 존스의 복원 모델은 그리스 미술의 채색 문제 중에서도 파르테논으로 대표되는 고전기 미술에 대해서 특히 첨예하게 벌어졌던 당시의 논쟁을 반영한 것이었다. 여기에는 당대 영국 학계에서 고전기 그리스 건축에 대한 최고의 권위자로 꼽히고 있던 프랜시스 펜로즈 뿐 아니라 그리스 문학과 역사 연구자, 그리고 수정궁 전시 작업에 참여했던 조지 샤프와 같은 예술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또한 프란츠 쿠글러와 고트프리트 젬퍼, 칼 오트프리트 뮐러 등 이 주제에 대해서 선도적인 입장에 있던 유럽 학자들의 주장들이 영국 고고학계에 적극적으로 소개, 분석되었다.
    이들의 궁극적인 관심사는 근세 서구 미술사학과 고전 고고학에서 그리스 미술의 절정기로 여겨 온 페리클레스 시대 아테네 건축과 조각의 이상적인 이미지가 다채색 장식 방법과 어떻게 부합하는가라는 문제였다. 건축물의 주된 표면들, 그리고 인체 조각상들에서 피부에 해당되는 표면까지 전면적으로 채색이 되었는지, 대리석의 원 재질감을 손상하지 않도록 물들여진 것인지, 아니면 표면 처리 후에 채색이 되었던 것인지 등의 구체적인 의문점들이 다각도로 제기되었으며, 동시대 미술 현장에서도 이와 연계된 시도가 진행되었다. 이러한 논쟁과 실험들은 19세기 중반 영국 고전 고고학이 기존의 유물 수집과 애호 취향으로부터 과학적 학문 활동으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과거의 고전주의 미학이 실증주의적 자료들과 어떻게 충돌하게 되었는지, 특히 파르테논 건축 조각에 대한 이상화된 이미지가 당시 고대 그리스 미술 연구에서 얼마나 특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었는지 잘 보여준다.

    영어초록

    This paper outlines the polychrome controversy on ancient Greek architecture and sculpture inthe 19th century, focusing on the reconstruction model of the Parthenon frieze in the Crystal Palace,which opened at Sydenham in 1854. This model produced by Owen Jones, the director of the FineArt department containing the Greek Court, provoked a wide criticism with its whole coloring. Thererose active debates on the coloring of ancient Greek art n the early 19th century archaeology, whichwere leaded by German and French scholars. Attic sculpture and architecture of the Periclean periodbecame a crucial factor on these debates, as they were considered the highest achievement of Greekart. Until then, British archaeological circles were holding conservative opinion on this matter, basedon the deep rooted classicism. However, they were compelled to respond on the movements of thecontinent, and the Royal Institute of British Architects investigated the Elgin Marbles of the BritishMuseum. Their conclusion after the observation and chemical analysis of the specimens from theParthenon and other recent discoveries from the Acropolis excavations was that, even though it istrue that Greek architectures of the archaic and classical period were decorated in color, there is noevidence of coloring in the frieze, metope, and pediment sculptures of the Parthenon.
    Jones objected to this conclusion, and presented a wholly colored – including the skins of thehuman figures - reconstruction model of the Parthenon frieze at the Greek Court of the CrystalPalace. Exhibited on the upper part of the narrow gallery, much higher than the viewpoints of thevisitors, Jones’s colored models were intended for the visitors to feel what was the original state andarchitectural environment of the Parthenon frieze. He also published An Apology for the Colouringof the Greek Court in the Crystal Palace (1854), where he explained his theoretical grounds for theexperiments of colors. What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reconstruction model of Jones is that histrial was an extension of the contemporary polychrome debates, where the art of the classical periodrepresented by the Parthenon was the center of the acute conflict. Several scholars like Francis C.
    Penrose, who were considered as the highest authority on Classical Greek architecture in England,and other scholars on Greek literature and history, as well as artists like George Scharf, whoparticipated in the Crystal Palace exhibition. Also leading theories of the scholars in the Continentlike Franz Kugler, Gottfried Semper, Karl Otfried Müller were rapidly introduced and inspected by the British archaeological world.
    Their ultimate interest was the condition of the ‘best period of ancient Greek art,’ that is, thearchitecture and sculpture of the Periclean Athens, and how their ideal image became conformed tothe polychrome method of decoration. There arose detailed questions if the main body of thearchitecture and skin of the human figures in statues were wholly colored, or they were tinted, inorder not the spoil the texture of the white marble, or the ancients applied coating on the surfacesof the marble and colored on top of them. There were various attempts to find answers for them,and drew several experimental movements on this subject by the contemporary artists as well. Thesedebates and experiments show us how the British archaeology developed from the artifacts-collectingantiquarian dilettantism to a scientific field of investigation, and how the idealistic aesthetics ofclassicism conflicted to the positive data of archaeology during this development, and how muchsignificance the ideal image of the architectural sculptures of the Parthenon has for the study ofGreek art in the 19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