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누가 「파르테논 조각상」을 소유하는가? (Who owns the Parthenon Sculptur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6.06
34P 미리보기
누가 「파르테논 조각상」을 소유하는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 / 10권 / 1호 / 1 ~ 34페이지
    · 저자명 : 송호영

    초록

    최근 국제사회는 과거에 반출된 문화재의 반환을 요구하는 나라와 이를 지키려는 나라 사이에 이른바 제3차 세계대전을 치루고 있다. 문화재가 가진 국가적 정체성과 높은 경제적 가치로 인해 문화재의 반환을 요구하는 원산국의 목소리는 갈수록 높아지고 이러한 요구를 막아내기 위해 보유국으로서는 다양한 논리들을 개발하고 있다. 문화재의 환수문제는 그저 어설픈 민족감정으로만 접근할 수 있는 단순한 문제가 결코 아니며, 해당 문화재와 관련한 역사적 맥락, 윤리적 판단, 법적 분석, 외교적 실익, 사회적 파장 등 다양한 요소들의 복합체로 구성된다. 본고는 국제사회에서 문화재의 반환을 둘러싼 제반 문제들을 탐구하고자 하는 필자의 3개년에 걸친 계획에 따라, 그 중 첫 번째로 문화재에 관하여 제기되는 근본적인 문제들을 살펴보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본고의 제목에서「파르테논 조각상」은 런던의 대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일명 ‘엘긴 마블스’, 즉 1810년 당시 터키 주재 영국 대사였던 엘긴경(卿)에 의해 그리스 파르테논 신전에서 떼어져 나온 조각상을 가리킨다. 본고는 ‘파르테논 조각상’으로 상징되는 문화재의 환수와 보유에 대한 학문적 논거에 대해 살펴보고 이에 대한 필자 나름의 견해를 밝혀보았다. 이를 위해 논문의 I.에서는 논문의 작성배경을 소개하고 II.에서는 문화재의 개념적 의미와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논문의 III.에서는 문화재에 대해 상반되는 두 개의 세계관인 문화국가주의와 문화국제주의의 논거와 내용을 살펴보고, IV.에서는 문화국가주의와 문화국제주의 논쟁의 연장선상에서 문화재의 자유로운 이동에 대한 찬성과 반대의 논리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V.에서는 이러한 고찰을 기반으로 구체적으로 파르테논 조각상의 반환을 둘러싼 반환과 보유의 논리상 대립에 대해 탐구하였다. VI.에서는 이러한 종합적인 논구의 결과에 대해 요약·정리하였다.

    영어초록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currently undergoing a so-called “Third world War” between countries demanding the return of improperly-exported cultural properties and countries that hold the properties. In recent years, nations have been making a growing number of demands for the return of illegally-exported cultural properties. Countries that possess contested cultural properties have been coming up with new justifications for refusing to return the properties. Restitution of cultural property has always been a complex issue, involving factors such as historical context, ethical considerations, legal analysis, diplomatic ties, and social influence.
    This article examines the academic argument for repatriation of cultural property by using the “Parthenon sculptures” as a case study. The “Parthenon sculptures” case refers to the “Elgin Marbles” housed in the British Museum, which were taken away from the Greek Parthenon temple in 1810 by Lord Elgin, the British ambassador to the Ottoman Empire.
    An overview and background of this dispute is introduced in chapter I of this article. Next, the conceptual meaning and characteristic of cultural property will be explored in chapter II. Chapter III presents two competing views cultural property: cultural nationalism and cultural internationalism. As an extensional debate between cultural nationalism and cultural internationalism,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free movement of cultural property are discussed in chapter IV. The specific arguments concerning restitution and retention of the Parthenon sculptures are presented in chapter V. Some concluding arguments and a summary will be provided in chapter V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