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논토양의 민속분류 양상과 특징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Paddy Soil Folk Classification in Korea)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7.06
25P 미리보기
논토양의 민속분류 양상과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민속박물관
    · 수록지 정보 : 민속학연구 / 40호 / 243 ~ 267페이지
    · 저자명 : 김재호

    초록

    이 글은 산촌, 강촌, 그리고 도서지역의 사례를 통해 논토양에 관한 민속분류의 특징을 살핌과 동시에 민속분류의 내용과 토양학적 분석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민속분류가 갖는 의의를 고찰한 것이다. 종합적으로 볼 때, 민속토양학(ethnopedology)은 민속동물학(ethnozoology)이나 민속식물학(ethnobotany)과 마찬가지로 민속과학(ethnoscience)으로서의 성격이 강할 뿐만 아니라 과학적 분석을 주요 학문 방법으로 하는 토양학(pedology)과도 깊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논의의 주요한 결과를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3곳의 지역사례에서 조사된 논토양의 민속분류 양상은 ‘누운질’과 ‘선질’, ‘질땅’과 ‘사발땅’, ‘본땅’과 ‘깻묵 땅'으로 각각 확인되었으며, 이는 토양학적으로 볼 때 다소 차이가 있긴 하지만 크게 보아 양토(壤土)와 사양토(砂壤土)의 대비로 이루어진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청산도의 ‘깻묵 땅'은 토양학적으로 논토양으로는 적절하지 못한데도 지역의 역사적 사회적 조건 속에서 논으로 이용되었다.
    논토양에 관한 민속분류 방식은 산촌, 강촌, 그리고 도서해안지역 모두 토양이 갖는 배수성(排水性)이 주요한 기준이 되었으며, 그 결과 찰흙과 모래흙의 2종류로 대별하여 분류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토양의 배수성은 수리(水利)뿐만 아니라 제초작업이나 최종 수확물인 벼의 미질(米質)과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분류 논리의 기저가 되고 있다. 토양이 갖고 있는 비옥도(肥沃度)나 화학적 성질 등이 주요한 분류기준으로 설정될 수도 있을 터인데 적어도 논토양의 민속분류에서는 그렇지 않은 것이다. 이는 논토양의 민속분류가 갖는 특징이라고 할 수 있으며, 벼 중심의 단일 작물을 연작하는 경작지로서 논을 대하는 농민들의 오래된 경험적 지식이자 인식이기도 하다.
    이렇게 볼 때 민속토양분류는 특정 사실이나 단일의 기준 혹은 근거에 의거한 분류가 아니며, 토양에 관한 많은 축적된 경험적 지식과 내용들이 아우러져서 형성된 경험과학으로서의 성격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은 토양분석을 주 방법론으로 취하는 토양학의 과학적 분류방식과 구별되는 민속분류의 방식이자 논리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paddy soil classification through the examples of mountain villages, riverside villages, and island villages, while analyzing the scientific meanings of folk classification by comparing the contents of folk classification with pedological analysis. Comprehensively considered, ethnopedology basically employs the ethnoscientific approach as ethnozoology or ethnobotany does, being significantly related with pedology whose approach is centered on scientific analysis. Main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paddy soil investigated from the cases of three local areas is respectively classified into ‘nuunjil’(lying soil) vs. ‘seonjil’(standing soil), ‘jilddang’(muddy soil) vs. ‘sabalddang’(sandy soil), and ‘bonddang’(good soil) vs. ‘ggaetmukddang’(sesame-dregs soil). Such classification can be explained as the rough comparison between clay loam and sandy loam, though there are some discrepancies from the pedological perspective. The ‘ggaetmukddang’ in Cheongsan Island notably has been used for rice paddy on its historical and sociological conditions, being not proper for rice paddy.
    Paddy soil has been mainly classified according to its draining degree regardless of its location, which leads to general classification of either clay loam or sandy loam. The draining degree of soil is a fundamental factor of classification discussion owing to its close correlation with irrigation, weeding, and rice quality. Soil fertility or its chemical characteristics are not regarded as the major criterion in folk classification of paddy soil. That indicates the characteristics of paddy soil folk classification as well as the empirical knowledge and perception of farmers who treat their rice paddy as arable land for a single crop, rice.
    Paddy soil classification in Korea is not based on specific facts or a tangible single criterion but formed through accumulated empirical knowledge and perception on the soil, which is the main requisite of the empirical science. In conclusion, paddy soil folk classification in Korea is the classification method and approach which differs from the scientific taxonomy method of pedology which mainly adopts the soil analys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속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