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종직의 「유두류록(遊頭流錄)」에 나타난 지명에 대한 현장 조사와 지명 유래의 비판적 검토 (A Field Survey and Critical Review of the Origin of Place Names in the 「Yuduryurok」 of Kim Jongjik)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22.06
32P 미리보기
김종직의 「유두류록(遊頭流錄)」에 나타난 지명에 대한 현장 조사와 지명 유래의 비판적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명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명학 / 36권 / 5 ~ 36페이지
    · 저자명 : 곽재용

    초록

    이 연구는 김종직의 「유두류록」에 나타난 지명에 대해 현장 조사를 통해 그 유래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지리산 지명의 실체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유두류록」지명어의 개별어휘는 147개, 연어휘는 185개로 평균 빈도는 약 1.23개이다. 고빈도 지명은 천왕봉, 두류산, 함양 등이다. 지명의 전승 유형을 현재 사용 중인 지명, 옛 지명, 사라진 지명, 기타 지명으로 나누었다. 20여 차례 현장 조사를 통해「유두류록」지명을 검토하였다. 등구점(登龜岾)은 등구재로 등구사에서 온 이름이다. 상봉은 천왕봉을 말한다. 중봉, 하봉도 있기에 현재도 자주 사용한다. 영신봉의 영신(靈神)은 가섭이 열반에 들기 전 선정에 든 후의 이름이다. 영랑점은 영랑재로 3,000명의 무리를 지휘한 신라 화랑 영랑에서 온 이름이다. 청이당은 지리산 동부능선에 있었던 당집으로 교통의 요지였다. 독녀암은 홀로 도를 닦던 여인의 이야기에서 비롯되었고, 노장대 혹은 함양독바위라고 한다. 마암은 답사 결과 청이당 부근이 아니라 중봉샘 근처의 바위로 비정한다. 석문은 오늘날 통천문을 말한다. 통천문은 김택술의 유산기에 처음 나타난다. 저여원은 세석평전이다. 세석평전은 배찬의 유산기에 처음 나온다. 세석평전에 잔돌이 많이 이를 잔돌평전으로 부르는 것은 타당하다. 증봉은 시루봉으로 빈발봉, 사자봉, 중봉, 촉봉 등으로 불리어졌는데 오늘날 촛대봉이다. 향로봉은 '향로봉>상로봉>상노봉>상내봉’으로 구개음화와 비음화가 일어났다. 미타봉과 상내봉을 합하여 와불산으로 부르는 것이 타당하다. 사라진 지명인 실택리는 오늘날 실덕마을인 듯하다. 청학사동은 쌍계사 부근으로 추정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review the origin of the place names in Kim Jong-jik's 「Yuduryurok」 through field surveys. There are 147 individual place names for 「Yuduryurok」 and 185 total place names, with an average frequency of 1.23.
    The names of high frequency places are Cheonwangbong, Duryusan, and Hamyang. The transfer types of place names were divided into current place names, old place names, disappeared place names, and other place names. I reviewed the name place of 「Yuduryurok」 through more than 20 field surveys.
    Deunggujeom is Deunggujae and is the name from Deunggusa. Sangbong refers to Cheonwangbong. There are also Jungbong and Habong, so it is still used often. Yeongsin of Yeongsinbong is the name of the place after it was selected before Gaseob entered Nirvana. Yeongrangjeom is the name of the Silla Hwarang Yeongrang, which commanded a group of 3,000 people as Yeongrangjae. Cheongidadang was a shrine located on the eastern ridge of Jirisan and was the main point of transportation. Dongnyeoam originated from the story of a woman who was practicing Tao alone, and is called Nojangdae or Hamyang Dokbawi. As a result of the survey, Maam was located on a rock near Jungbongsaem, not near Cheongidadang. Seokmun refers to Tongcheonmun today. Tongcheonmun first appears in Kim Taek-sul's Mountaineering Writing. Jeoyeowon is Seseokpyeongjeon Seseokpyeongjeon appears for the first time in Baechan's Mountaineering Writing. It is reasonable to call it Jandolpyeongjeon because there are many small stones in Seseokpyeongjeon. Jeungbong was called Binbalbong, Sajabong, Jungbong, and Chokbong as Sirubong, and today it is Chotdaebong. Hyangrobong is "Hyangrobong >Sangrobong>Sangnobong> Sangnaebong", and palatalization and nasalization occurred. It is reasonable to combine Mitabong and Sangnaebong and call it Wabulsan. Siltaek-ri, a place name that disappeared, refers to Sildeok Village today. Cheonghaksa -dong is estimated to be near Ssanggyes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