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癸未使行團과 大江資衡의 筆談唱和錄 『問佩集』에 대하여 (On Monpaishu, a Record of Literary Writing Conversations between the Kyemi Envoy and Ooesikou)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5.06
28P 미리보기
癸未使行團과 大江資衡의 筆談唱和錄 『問佩集』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한문학연구 / 41권 / 41호 / 103 ~ 130페이지
    · 저자명 : 김성진

    초록

    본고는 癸未使行團과의 筆談唱和에 매우 적극적이었던 京都의 文士인 大江資衡과 그의 『問佩集』에 대한 것이다. 大江資衡은 癸未使行團과 필담창화를 나눈 關西地域 문사들의 연결고리 역할을 했고, 『問佩集』이 포함된 『和韓雙鳴集』에는 당시 關西地域 문사들의 그러한 인적 네트워크가 잘 반영되어 있다. 그럼에도 大江資衡과 그의 『問佩集』은 조선후기 통신사행과 필담창화와 관련된 한일 양국의 학계에서 거의 언급된 바 없다. 그런 점에서 大江資衡의 變姓名 전후 사정과 그의 『問佩集』에 집중하여 연구한 본고는 癸未使行을 포함한 조선후기 통신사행과 필담창화에 관련한 연구에 새로운 관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大江資衡은 癸未使行團과의 필담창화에서 거듭해서 渤海使 裵璆를 거론하면서 한일문사간의 필담창화가 천년을 이어온 것임을 강조하였다. 본고에서 특별히 주목하는 것은 大江資衡으로 대표되는 근세 이전 일본 문사들의 이러한 역사인식이다. 이와 달리, 계미사행의 문사들은 渤海使에 대해 이렇다 할 관심을 표하지 않았던 바, 본고에서는 이러한 양국 문사간의 인식의 차이를 『問佩集』에 실려 있는 창화시문을 통해 확인하고자 했다.
    『問佩集』은 『和韓雙鳴集』의 출간에 앞서 별도로 간행된 바 있는 독립된 저작물이다. 그럼에도 『問佩集』이 『和韓雙鳴集』에 ‘附’의 형식으로 편입되게 된 것은 幽蘭社와 蒹葭堂會, 混沌社 등이 서로 얽혀 있는 당시 關西地域 문단의 상황이 반영된 것이다. 癸未使行을 전후한 關西地域의 문단 상황은 너무나 복잡하여 쉽게 파악할 수 없는 때문으로, 본고에서는 18세기 후반의 日本 關西地域 文壇을 파악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問佩集』을 매개로 해서 幽蘭社를 주도한 龍草廬와 大江資衡의 주변을 살피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on Monpaishu of Ooesikou, a literary man in Kyoto, who was very active in literary writing conversations with the Kyemi Envoy. Ooesikou played a role of liaison with literary persons in the region of Kansai who shared literary writing conversations with the Kyemi Envoy. Wakansomeishu appending Monpaishu was a good reflection of the human network among literary persons in the region of Kansai at that time. However, Ooesikou and his Monpaishu has scarcely been mentioned in the academic circles of Korea and Japan, related to the Kyemi Envoy and literary writing conversations in the late Chosun Dynasty. In that respect, this study focusing on Ooesikou and his Monpaishu will offer a new perspective to studies related to the Kyemi Envoy and literary writing conversations in the late Chosun Dynasty.
    Ooesikou repeatedly mentioned a Balhae envoy, Bargyoo, in literary writing conversations with the Kyemi Envoy, and emphasized that the conversation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literary persons had more than 1,000 years of history. The key note of this study is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Japanese literary persons whom Ooesikou represented before modern times. By contrast, nobody of the Kyemi Envoy did not express any concern to Balhae envoy. So this study researched in which thes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a man of letters between the two countries taken to respond to verify through Monpaishu.
    Monpaishu was an independent literary work, published separately before the publication of Wakansomeishu. Nevertheless, Monpaishu was attached to Wakansomeishu in a form of appendix. It reflected the contemporary literary circles in Kansai, where Yuransha, Kenkadogai, Kontonsha, etc were entwined together.
    Before or after the Kyemi Envoy, the situation of the contemporary literary circles in Kansai was very complicated. Therefore, we can not be easily understood. So this study researched the around of yousoryo and Ooesikou who led the Yuransha as part of the work that identifies the literary circles as part of task that grasp the contemporary literary circles in Kansai in the late 18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