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매월당시사유록(梅月堂詩四遊錄)』의 차시(茶詩)에 나타난 차정신 (Tea Spirit in the Poetry of Maewoldangsisayurok)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24.09
13P 미리보기
『매월당시사유록(梅月堂詩四遊錄)』의 차시(茶詩)에 나타난 차정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차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차학회지 / 30권 / 3호 / 1 ~ 13페이지
    · 저자명 : 오영선, 홍성철, 이병인

    초록

    『매월당시사유록(梅月堂詩四遊錄)』은 매월당의 여행견문에 따른 소회(所懷)를 노래한 시집으로, 청장년시절 매월당의 학문적 지향의식과 현실인식을 파악하는 준거(準據)가 되는 자료이다. 매월당은 유불도(儒佛道) 삼교(三敎)를 회통(會通)하는 사상을 바탕으로 다선일여(茶禪一如)의 차생활을 실천적으로 수행하였다. 매월당은 환로(宦路)를 포기하고 방외자(方外者)가 되어 청빈한 생활을 했지만, 차에 대한 전문적 식견을 가지고 신분을 초월한 교유를 하면서 나눔을 실천한 품격있는 차인(茶人)이었다. 그의 차생활(茶生活)은 끊임없는 자기 수양과 깨달음을 이루기 위한 수단이었고, 어디에도 구속되지 않는 자유로움과 초월적 자연관으로 초탈의 경지에이르러 자기초극(自己超克)의 세계를 즐겼다. 직접 차를 재배하여 채다(採茶)하고 제다(製茶)하여 차생활을 한매월당은 한국차문화사에서 독보적인 족적(足跡)을 남긴 차인이다. 이처럼 차를 매개로 하여 신분과 국가를 초월한 교유(交遊)를 통해 품격을 높인 매월당의 차정신은 현대를 사는 우리에게도 차를 통한 관계의 회복과 나눔의 실천 그리고 자연과의 공생으로 건강성을 회복하는 정신문화 구축에 의미있는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Maewoldangsisayurok is an anthology of poems about Maewoldang's reflections from his travels and observations and serves as a reference point for grasping the reality of Maewoldang's academic orientation and perception of reality during his youth. Maewoldang practiced the tea life of “Daseonilyeo” based on the idea of reconciling the three school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lthough Maewoldang gave up his civil service, became an outsider, and lived a life of poverty, he was a noble tea person who practiced sharing through socializing that transcended social status with his expert tea knowledge. His tea life was a means to achieve constant self-discipline and enlightenment, and he enjoyed the world of self-transcendence by reaching a state of detachment with freedom not restricted by anything and a transcendental view of nature. Maewoldang, who made a living by growing, picking, and making his own tea, a tea maker who left an unrivaled mark in the history of Korean tea culture. It is believed that Maewoldang's tea spirit, which enhanced its dignity through intercourse that transcended status and country through tea, can help restore relationships through tea, the practice of sharing, and the establishment of a mental culture that restores health through symbiosis with n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차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