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栢巖 金玏의 삶과 「임영록(臨瀛錄)」에 나타난 심상지리 (A Study on the Life of Baekam Kim Reuk and Imaginative Geography in His 「Yimyeongrok」)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6.06
33P 미리보기
栢巖 金玏의 삶과 「임영록(臨瀛錄)」에 나타난 심상지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언어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론총 / 68호 / 35 ~ 67페이지
    · 저자명 : 권경록

    초록

    이 글은 栢巖 金玏이 광해군대 초기 강릉부사로 좌천되어 있을 때 지은 시집 「임영록」을 중심으로 그의 삶과 심상지리를 밝힌 것이다. 광해군은 즉위 2년인 1610년에 사후 30년이 지난 생모 恭嬪金氏를 추숭하여 慈淑端仁恭聖 王后로 삼고, 그 묘소를 성릉(成陵)으로 부르게 했다. 이에 김륵은 「봉자전추숭후 청정진하반사계」를 올려 공빈김씨의 별묘추숭이 예법에 어긋남을 논하고, 그것을 감쇄할 것을 주장했다. 김륵은 이 사건으로 인해 1610년 6월에 강릉부사로 좌천되고, 다음해 12월 파직되어 시골로 쫓겨났다.
    「임영록」에는 번뇌와 초탈의 극단을 오가는 김륵의 심리가 극명하게 나타난다. 「임영록」에 드러나는 김륵의 심상은 ① 선경의 동경 ② 불변의 충심 ③ 하소연 ④ 체념으로 범주화 할 수 있다. 이러한 심상은 ‘선계’, ‘매화’, ‘단심’과 ‘눈물’, ‘신선’과 ‘학’ 등의 단어로 대체, 상징되어 표상된다. 선명하게 드러나는 김륵의 심리 변화와 상징은 내·외면의 부조화와 강박적 은유가 반영된 결과이다. 내적 지향과 광해군대 혼란한 정국 사이의 괴리가 남긴 정신적 피로감과 상흔에서 비롯된 김륵의 극단적 심리 변화를 이해할 수 있는 실마리를 ‘지수부’와 ‘차귀거래사’에서 찾을 수 있다. 김륵에게 있어서 ‘지수(止水)’로 상징되는 물은 곧 ‘청정’, ‘수신’, ‘불변’의 심상이었고, 군자의 길을 찾아가는 매개였다. 김륵의 귀거래사에는 영원히 이별하는 단념의 심리가 아닌, 서울에 대한 미련과 귀향에 대한 희망이 교차되어 나타난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life and imaginative geography of Baekam Kim Reuk with his collection of poems 「Yimyeongrok」 he wrote when he was demoted to the Busa of Gangreung during the early days of Gwanghaegun's reign. On the second year of his reign in 1610, Gwanghaegun decided to worship his birth mother Gongbin Kim, who had been dead for 30 years, granted her the title of Queen of Jasukdaningongseong, and gave an order to move her tomb to Seongreung. Kim Reuk submitted 「Bongjajeonchusunghu Cheongjeongjinhabansagye」 discussing how his decision to worship Gongbin Kim and move her tomb would violated the decorum and insisting on the retraction of his decision. He was subsequently demoted to the Busa of Gangreung in June, 1610 and was dismissed from office and driven to the country in December the next year.
    His 「Yimyeongrok」 clearly shows his psychology shifting between the extreme ends of agony and transcendence. His mental images in the collection can be categorized into ① his yearning for a fairyland, ② his unchanged loyalty, ③ his complaints, and ④ his resignation. His mental images were replaced, symbolized, or represented in such words as ‘fairyland’, ‘plum blossom’, ‘single-heartedness’, ‘tears’, ‘Taoist hermit with miraculous powers’, and ‘the crane’. The clear manifestation of his psychological changes and symbols was the result of him reflecting the disharmony between his in and outside and his compulsive metaphors. ‘Jisubu’ and ‘Chaguigeoraesa’ offer some clues to understand his extreme psychological changes derived from his mental fatigue and wounds caused by the gap between his internal orientation and the confusion political situations during the reign of Gwanghaegun. For him, water represented by ‘Jisu’ was the imagery of ‘purity’, ‘moral training’, and ‘invariability’ and the medium of finding his way to the path of noble man. His Guigeoraesa displays an intersection between his lingering affection toward Seoul and his hope of returning to his hometown rather than his psychology of abandonment for eternal farewe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론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