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중기 寒岡學派의 등장과 전개 -門人錄을 중심으로-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Han-gang School in the mid-Joseon Dynasty: focused on the list of Hangang's disciples)

6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0.06
64P 미리보기
조선중기 寒岡學派의 등장과 전개 -門人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집 / 40호 / 105 ~ 168페이지
    · 저자명 : 김학수

    초록

    이 글은 寒岡 鄭逑(1543-1620)와 문인집단인 寒岡學派의 형성과 지역적 전개 양상을 분석한 것이다. 退溪․南冥 양문의 고제였던 정구는 16세기 중후반부터 강학활동을 통해 성주, 대구를 비롯한 영남 일원에서 342명에 이르는 문인을 규합하여 한강학파 형성의 단초를 마련했다. 한강문인은 영남, 서울 등 전국적으로 분포하였지만 90%가 영남 출신이라는 점에서 지역성을 강했고, 특히 주목할 것은 전체 문인의 약 60%가 성주, 칠곡, 대구, 현풍, 고령, 창녕, 영산, 함안, 밀양 등 洛東江 중류지대에 분포하고 있었다.
    인문지리적 환경의 차이가 사상적 지향, 삶의 방식에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좀 더 구체적인 논의가 따라야 하겠지만 이황의 퇴계학파와 조식의 남명학파가 각기 청량산, 지리산으로 대변되는 ‘산문화’와 관련이 깊었다면 한강학파는 ‘강문화’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는 점에서 앞의 두 학파와는 일정한 차별성이 있었고, 이 점에서는 17세기 후반 안동, 청송, 영해 등 영남의 동북부 내륙지방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李玄逸의 葛庵學派도 예외일 수 없었다.
    한강학파의 형성은 본질적으로 당시 영남학계에서 차지하고 있던 정구의 학문적 역량과 위상에 바탕하였지만 학파적 외연 확장에 있어 徐思遠, 孫處訥 등 초기 문인들의 역할도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여느 학파와 마찬가지로 한강학파 또한 盧克弘, 李厚慶의 예처럼 혼맥에 바탕한 혈연적 유대가 학연으로 확대된 경우가 많았고, 문인 상호간의 척연도 학파 확장의 주요한 변수로 작용하였다.
    한강학파의 거점은 크게 성주지역, 칠곡․대구지역, 현풍․고령지역, 창녕․영산․함안․밀양지역으로 대별할 수 있으며, 檜淵(성주)․ 泗陽(칠곡)․硏經(대구)․道東(현풍)․冠山(창녕)․道林(함안)書院 등 정구의 제향처도 이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였다. 성주 지역은 李, 李堉, 崔恒慶, 裵尙龍, 대구지역은 서사원, 손처눌, 창녕지역은 노극홍, 盧世厚 등 광산노씨 일문, 영산지역은 이후경, 李道孜 등 벽진이씨 일문, 함안지역은 安侹, 李明怙, 밀양지역은 孫起陽, 朴壽春, 曺以復 등이 한강문인의 중심을 이루었다. 본고는 한강학파의 형성과 전개 과정을 개괄적으로 검토하는데 그쳤지만 향후 한강학파의 학풍, 寒岡學의 지역적 전승 양상 등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도 본고에서 밝힌 이런 구도와 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This dissertation analyze Han-gang Cheong-gu[寒岡 鄭逑] and his School's formation and development in local area. He was famous for a distinguished disciple of Lee-hwang and Cho-sik. He cultivated 342 disciples at Seongju, Daegu, and other area in Yeongnam province since the middle of 16thcentury. Over 90 percent of his disciples were from Yeongnam province. It is worthy of notice that especially about 60 percent of all his disciples were from the halfway area in Nakdong River such as Seongju, Chilgok, Daegu, Hyeongpung, Koryeong, Changnyeong, Yeongsan, Hamyan, Milyang etc.
    Although it needs to more detatiled discussion on the relation between the anthropogeographical condition and the direction of thought, way of life in the people living in that area, it is obvious that there is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m. Lee-hwang’s Toegye School in Mt. Chungryang and Cho-sik’s Nammyeong School in Mt. Jiri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Mountain Culture”, Hangang School was were closely connected with “River Culture.” Also, Lee-hyeonil’s Galam School was so relevant to “Inland Culture,” because that School’s center was inland in northeastern Yeongnam province. It might be that this anthropogeographical difference made the distinctive character of School.
    Hangang School’s geographical centers were approximately divided into four local areas such as 1]Seongju, 2]Chilgok· Daegu, 3]Hyeonpung·Goryong, 4]Changnyeong·Yeongsan·Haman·Milyang. Also, Seowons which set up Hangang’s tablet in the shrine, were spread across in the same areas. They were Hoiyeon seowon[Seongju], Sayang seowon[Chilgok], Yeongyong seowon[Daegu], Dodong seowon[Hyunpung], kwansan seowon [Changnyoung], and Dorim seowon[Haman]. The Hangang School’s leaders in Seongju were Lee-seo, Lee-yuk, Choi-hanggyeong, and Bae-sanglyong. The leaders in Daegu were Seo-sawon and Son-chenul. The leaders in Changnyeong were Noh-keukhong, Noh-sehu, and others of the Kwangsan Noh family. The leaders in Yeongsan were Lee-hukyeong, Lee-dojeong, and others of the Bukjin Lee family. The leaders in Haman were An-jeong and Lee-myeongho. The leaders in Milyang were Son-kiyang, Park-suchun, and Cho-ibok. This dissertation gives a general analysis of Han-gang School's formation and development in local area. But, this article’s point of view may be of help to the further study on the academic traditions of Han-gang School and the mode of transmission in local a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