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5-16 세기 지리산 遊覽錄에 나타난 靑鶴洞 (The Cheonghakdong Expressed in Jirisan Mountain’s Sighting-Seeing Records of the 15-16th Century)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3.12
21P 미리보기
15-16 세기 지리산 遊覽錄에 나타난 靑鶴洞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론집 / 56권 / 127 ~ 147페이지
    · 저자명 : 김동협

    초록

    조선조에 있어서 15-16 세기는, 성리학적 질서가 형성되어 그 절정에 이른 시기라고 할 수 있다. 고려 시대에 나타나기 시작한 지리산의 靑鶴洞에 대한 관심이 이때에 와서 다시 등장하는데, 특히 영남지방에 근거를 둔 사람들이 지리산을 유람하면서 靑鶴洞에 대하여 관심을 많이 가졌다.
    金宗直은 지리산을 유람하는 중에, 靑鶴洞에 관한 얘기를 듣기만 하고 실제로 찾아가보지는 못하였으나, 지리산 靑鶴洞에 대한 회포를 나타냈다. 金馹孫은 지리산 靑鶴洞을 직접 찾아 가보고 그곳의 모습과 느낌을 표현했으며, 曺植도 역시 靑鶴洞을 실제로 탐방해보고 그 곳의 모습과 회포를 서술했다.
    김종직은 岳陽縣에 靑鶴洞이 있다고 생각했고, 김일손․조식은 花開縣에 청학동이 위치하고 있다고 생각했다. 현재 경남 하동군 청암면에 위치하고 있는 소위 靑鶴洞이라고 일컫는 靑鶴洞과는 그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다.
    물론 지리산 유람의 한 부분으로서 靑鶴洞을 찾아 가보기는 하지만, 靑鶴洞 유람은 조선조 말기까지 계속해서 이어졌으며, 이는 유교적 현실 세계에 대한 대안으로서의 기능도 수행했고, 또 일시적인 휴식처로서의 기능도 수행하면서, 우리 현세의 문제를 다시 생각해보게 하는 보조적인 기능도 수행하였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靑鶴洞에 대한 연구는 그 의의가 결코 적지 않을 것이며, 16 세기 이후 곧 17 세기부터 20 세기까지의 靑鶴洞 유람록에 대한 연구를 계속 수행하는 것은 큰 의의를 지닌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Cheonghakdong ex pressed in Jirisan mountain’s sight-seeing records of the 15-16th centu ry. In 15-16th century, Jirisan mountain’ sight-seeing records were very frequently written.
    The wtiters were Kim, Jong-jik, Kim, Il-son, and Jo, sik. They were born in Yeungnam, and lived there. They were well-known Confucian scholars.
    In Koryo dynasty, Lee, In-ro looked for the Cheonghakdong, but he did not find the place. Kim, Jong-jik didn’t go to the Cheonghakdong, only he heard it under the guidance of monk. He thought it located in Akyanghyeon.
    Kim, Il-son actually looked for the Cheonghakdong. Jo, sik also actually looked for the Cheonghakdong. They thought it is located in Whagaemyeon, and was the ideal land. After that time, the Confucian scholars looked for the Cheonghakdong frequently.
    The Cheonghakdong was the ideal land where fresh water flowed and the hill was beautiful. A blue crane flied around, and the valley was deep and clear. But the boundary was narrow and close. It was the ideal land where was free from the trammels of ordinary life.
    The Cheonghakdong expressed in Jirisan mountain’s sight - seeing records of the 15-16th century was the ideal land, but was not anti- social site. The writer’s attitude was not sick of life, and not weary of the world. They taked a cheerful view of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론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