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鐺洲 朴琮의 「渼湖遊錄」 연구 (Dang Joo Park Jong’s excursion to Miho and its meani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9.03
38P 미리보기
鐺洲 朴琮의 「渼湖遊錄」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방한문학 / 78호 / 267 ~ 304페이지
    · 저자명 : 오상욱

    초록

    咸鏡道 鏡城 출신의 儒學者 鐺洲 朴琮(1735~1793)은 함경도를 벗어나 澹窩 洪啓禧(1703~1771)와 渼湖 金元行(1702~1772)의 문하에 수학하면서, 楊州 洛口의 江泉亭과 미호의 石室書院을 오고가며 여러 문인들과 교유하였다. 「渼湖遊錄」은 경치유람뿐 아니라, 미호 선생을 만나면서 학문의 폭을 넓히는 데 상당한 기여가 있었고, 미호 유람 이후 고향으로 돌아온 박종은 벗들과 함께 隱寂寺와 深源寺 등에서 주자서를 읽고 베꼈다.
    당주는 1763․1765․1768년 3차례에 걸친 미호 유람을 통해 『大學』과 『中庸』 문답을 시작으로 『禮記』와 『儀禮』 등 喪․祭禮에 관해 주로 물었으며, 미호 유람에 앞서 1754년엔 「燭龍堂日錄」에서 『중용』 공부를 하였고, 1757년엔 미호 선생을 찾아 수학하였다.
    1763년에 첫 번째 미호를 유람하며 아름다운 풍광을 즐겼고, 1765년에 두 번째 미호를 유람하며 학문의 폭을 넓혔다. 이후 1767년 여러 벗과 함경도의 은적사에서 독서하며 주자서를 외웠으며 「隱寂寺讀書錄」, 주자서가 담긴 책상자를 들고 雪峰山[劍峯山] 深源寺에 들어가 이눌과 주자서를 읽고 여러 벗들과 주자서를 베낀 사실 「深源寺讀書錄」 등을 각각 기록으로 남겼다. 특히 세 번째 미호 유람에서는 그동안 경전의 의심나는 부분을 해소하며 학문의 발전을 이뤘으며, 주자서를 보급한 정황 등은 한층 더 미호 유람을 빛냈다.
    당주는 수려한 龜溪江亭을 보기위해 미호 유람을 결행하였지만, 정작 미호 선생을 뵙고 학문적 가르침을 받는 從遊가 미호 유람의 주목적이었다. 그는 관북의 벽촌에 살면서 스승 삼기가 어려워 碩學의 학문적 가르침을 받기위해 낙구와 미호를 오갔으며, 유람을 통해 산천의 경치를 즐기면서도, 궁극적으로는 학문의 발전에 중점을 두었다. 그리고 6년에 걸친 세 차례의 미호 유람은 주자서 등의 서적보급을 통해 함경도의 낙후된 학문을 일으키는 데에 일조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영어초록

    Dang Joo Park Jong(1735~1793), a Confucian scholar who was born in Gyungsung, Hamgyung-do, interacted with a variety of scholars studying under Dam Wa Hong Gye Hee(1703~1771) and Mi Ho Kim Won Hang(1702~1772) out of Hamgyung-do and being between Ganchonjung at Nakgu, Yangchon and Sukshil school at Miho. ‘Mihoyoorok’ contributed not only to provide with excursion but also to expand his study scope after meeting with the teacher Miho, and he read and copied the books of Zhuxi with his friends at the places like Eujok temple and Shimwon temple returning home since Miho excursion. Dang Joo asked mainly on funeral rites and ancestral rites such as ‘Book of Rites’ and ‘Yili’ starting from questions and answers of ‘Great Learning’ and ‘Doctrine of the Mean’ by Miho excursion in 1763, 1765, and 1768 for three times. Also, he studied on ‘Doctrine of the Mean’ at Chokryongdangilok in 1754 prior to Miho excursion and sought Miho teacher in 1757 for his study. He enjoyed the beautiful scenery of Miho traveling there at the first time in 1763, and expanded his study scope upon the second traveling Miho. Since then, he read and memorized the books of Zhuxi with his friends at Eujok temple in Hamgyung-do in 1767, came to Shimwon temple at Sulbong mountain (Mt. Gumbong) carrying the book box including the books of Zhuxi to read them together with Lee Nul, and recorded ‘Book review at Shimwon temple’ which copied the books of Zhuxi with his friends. At this time, the experiences and knowledge in Miho were influenced significantly, especially highlighting Miho excursion more with the situation to supply the books of Zhuxi. In addition, he achieved the progress of his study resolving the questions on the scriptures at the third travelling Miho. Dang Joo implemented to travel Miho to see the beautiful scenery of Googyegangjung, however, the main objective of the travel was ‘enjoying together’ to see the teacher Mi Ho and to take the lessons from him. Because he lived in the remote countryside of Gwanbuk which was hard to get lessons from his teacher, he came and went to Nakgoo and Miho to learn the lessons from the master. He enjoyed the scenery of the nature by excursion, and also empathized to progress his study. Therefore, what he tried to achieve from Miho excursions three times for six years were to develop the straggling study in Hamgyung-do and to contribute to supply the studies as well as the books of Zhux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한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