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글본 연행록에 나타난 중국 여성 (A study on Chinese female images in Hangul Yeonhaengrok(燕行錄))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20.11
38P 미리보기
한글본 연행록에 나타난 중국 여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古典硏究 / 51호 / 93 ~ 130페이지
    · 저자명 : 문려화

    초록

    연행록은 조선 사신들이 중국에서 체험한 문물제도, 일상문화 등에 대한 보고서이고 중국과 한국의 정치와 외교 관계를 보여주는 문화유산이다. 연행록은 한문본과 한글본으로 나뉘는데 다수의 연구가 한문본을 대상으로 진행되어 왔다. 본고는 한글본 14종 중 가장 이른 시기의 <조천일승(朝天日乘)>부터 <연일긔>, <을병연녹>, <무오연녹>, <븍연긔>, <연녹>을 중심으로 조선 사신이 포착한 중국 여성의 모습을 살펴봄으로써 중국 여성의 변화 양상과 저자들이 여성을 바라보는 시각의 변화를 고찰하고자 한다. 중화사상과 가부장제에 익숙한 저자들이 중국 여성을 어떻게 바라보는가는 명나라와 청나라 조정에 대한 조선 사대부들의 의식 변화를 반영하는 지표가 될 것이다.
    연행록에 나타난 중국 여성의 형상은 저자들이 확인한 구체적인 모습과 기존의 관념이 함께 작동하며 만들어진 것이다. 저자들은 중국 여성의 복식과 단장에 각별한 관심을 보였으며, 중국 여성을 ‘한녀(漢女)’와 ‘호녀(胡女)’로 구분하고 대체로 전자를 긍정하는 태도를 드러냈다. 이것은 조선이 한족 중심의 명나라 전통을 계승하고 있음에 대한 자부감이나 ‘소중화(小中華)’ 의식을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읽힌다. 이러한 인식은 후기로 오면서 변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저자들이 주목한 한녀와 호녀의 모습은 조선 여성들의 관심을 끌 수 있는 내용이며, 여성의 덕목을 강화하기 위한 장치로 기능했다고 볼 수 있다. 한글본의 주 독자층이 조선 여성이고 그들은 한글 연행록을 통해 중국에 대한 지식을 쌓고 중국 여성에 대한 이미지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Yeonhaengrok is a travel journal written by envoys who travelled to China during the Joseon dynasty. It records the natural scenery, culture, and daily life experienced during the visit. It is a valuable cultural heritage document that shows the history, politics, social culture, and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hina and Korea. It can be divided into Chinese and Hangul; most related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Chinese version.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in Chinese women and in the way Joseon envoys view women in the earliest of the 14 types of the original Hangul that have been unearthed so far, including Jo- cheonilrseng(朝天日乘), Yeonhaengilrki(연일긔), Eul-Byeong-Yeonhaengrok (을병연녹), Muo-yeon-hangrok(무오연녹), Bukyeongihaeng(븍연긔), and Yeonhaeng-rok(연녹). Given that the author were familiar with Chinese ideology and the patriarchal system, their view of Chinese women will be an indicator reflecting change among the Joseon literati and in the official consciousness of the Ming and Qing dynasties.
    The Chinese female images in Yeonsailrok reflect the specific images and existing ideas in the authors’ eyes. They had a special interest in Chinese women’s clothing and attire, separating Chinese women into two categories, namely the “woman of Han(漢女)” and the “woman of Hu(胡女)” and generally expressing affirmation toward them. This shows that the authors took pride in inheriting the tradition of the Ming dynasty and expressed a sense of Sojunghwa(小中華).
    The main readers of Hangul Yeonhaengrok are Korean women, and they build knowledge on China and form images of Chinese women. Thus, the images of the “woman of Han” and the “woman of Hu” in Hangul can be seen as a device to attract female readers and strengthen women’s virtu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