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삼국유사』 <욱면비염불서승> 텍스트의 상보적 서술 양상에 대한 전체론적 해석 (Holistic approaches to complementary relations of narratives in the subchapter “Ugmyeonbiyeombulseoseung” of Samgugyusa)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5 최종저작일 2020.11
48P 미리보기
『삼국유사』 &lt;욱면비염불서승&gt; 텍스트의 상보적 서술 양상에 대한 전체론적 해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古典硏究 / 51호 / 185 ~ 232페이지
    · 저자명 : 이지환

    초록

    이 연구는 『삼국유사(三國遺事)』 속 「감통(感通)」 편의 <욱면비염불서승(郁面婢念佛西昇)> 조(條)를 대상 텍스트로 하여, 내부 텍스트들 간의 상보적 관계를 상정하여 해석해보려고 한다. <욱면비염불서승> 안에 있는 두 이야기들(향전鄕傳과 승전僧傳)의 관계를 상보적이라고 본다면, ‘욱면’의 성불 과정과 수행 결과의 의미는 보다 심화되고 확장될 수 있다. 이 연구는 향전과 승전을 대립적인 관계로 보는 관점들을 메타적으로 검토하고, 상보적 관계로 보는 것이 합당하다고 주장한다. 각 해석들의 전제에 대한 비판적인 검토의 성과로서, ‘단일한 물리적 사건’으로 이야기 텍스트를 환원하려는 시도의 암묵적인 전제들이 <욱면비염불서승>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분명히 보였다. 그리고 상보적 관계를 상정한 뒤 해석하여, 보다 텍스트의 서술 의도에 부합하는 것으로 추정가능한 해석을 보였다. <욱면비염불서승>에서 ‘향전’은 ‘지금 여기’에서의 성불의 의지를 강조한다. 그리고 ‘승전’은 전생들과 성불 이후의 결과들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이 연구의 해석은 각각의 하위 서사가 제공하는 이해를 서로 관련지었다. 그러한 작업의 결과로, ‘욱면’의 성불의 가치를 격하시키지 않으면서도, 세부적인 논쟁적 해석 지점들에 대해서 일관성 있고 유의미한 해석을 도출할 수 있음을 보였다.

    영어초록

    The approaches herein initiate interpretations from the hypothesis about complementary relations between hyang-jeon(folklore narrative) and seung-jeon(Buddhistic narrative) in the subchapter “Ugmyeonbi- yeombulseoseung” of Samgugyusa. These interpretations improve and extend the meaning of the female slave Ugmyeon’s praying practice and attainment of Buddhahood.
    Developments of interpretations based on the complementarity hypothesis within the holistic view are more rational and robust than the dichotomous hypothesis of reductionism. This argument is justified by critical examination of reductive interpretations and a meta-review of narrative text inquiries. From refutations of the concealed premises of precedent discussions, it became clear that reductional premises are not appropriate for “Ugmyeonbiyeombulseoseung” taken as a whole text that presumably has intention and design with regard to descriptions and elaborated relations among the indispensable parts of the subchapter: two narratives, a eulogy, and a discussion.
    Specifically, hyang-jeon emphasizes the will of Ugmyeon’s Buddhistic practice for attaining Buddhahood in the “here and now.” and seung-jeon offers concrete information about Ugmyeon’s previous life and later events, such as commemorative action, memento production, temple 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and so on. They are explicit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in the interpretations in the third chapter. Consequently, these approaches attain effective interpretation-courses from the holistic view with cogency and richness, so that they do not degrade and contort the meaning of ‘Ugmyeon’ and her narrativ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