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황준량의 욱양서원 출향과 『금계선생변무록(錦溪先生辨誣錄)』의 간행 배경에 대한 고찰 (Consideration on Hwang Junryang(黃俊良)’s Exile from Ugyangseowon(郁陽書院) and Publication Background of Guemgyeseonsaengbyeonmurok(『錦溪先生辨誣錄』))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7.03
41P 미리보기
황준량의 욱양서원 출향과 『금계선생변무록(錦溪先生辨誣錄)』의 간행 배경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 / 40권 / 1호 / 7 ~ 47페이지
    · 저자명 : 권석창

    초록

    변무(辨誣)는 억울한 일에 대해 변별하여 밝히는 것으로, 변무록(辨誣錄)은 이와 같은 내용을 담고 있는 문헌을 일컫는다.
    이 글에서는 변무록 가운데 『금계선생변무록(錦溪先生辨誣錄)』을 통해 황준량(黃俊良)의 욱양서원(郁陽書院) 출향(黜享)에 관한 무고(誣告)와 그에 대한 변무과정, 『금계선생변무록』의 간행 배경을 살펴보고자 했다. 황준량은 짧은 생애를 살았고, 퇴계(退溪)에게 수학한 시기도 짧았지만, 퇴계학파의 주요 인물로 자리매김했다. 이 때문에 풍기(豊基)의 욱양서원에 황준량을 배향했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황준량에 대한 부정적 평가도 있었는데, 이러한 평가가 황준량의 출향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황준량의 출향에 대한 변무는 크게 세 시기에 걸쳐 이뤄졌다. 1차 변무기(1674‒1675)는 황준량에게 원망을 품은 순흥인에 의한 것으로, 노수신(盧守愼)과 심희수(沈喜壽)가 쓴 강유선(康惟善)의 지문(誌文)과 갈문(碣文)을 근거로 황준량이 강유선을 정거시켰다는 무고를 했고, 이에 대해 퇴계가 쓴 행장을 근거로 시기가 맞지 않는다는 근거를 들어 변무하였다.
    2차 변무기(1686‒1689)는 이선(李選)의 상소로 인해, 조정에서 논의를 거쳐 출향된 일에 대한 것이다. 이때 역시 1차 변무기의 주장과 함께 황준량이 이현보(李賢輔) 집안의 사위로 들어가 퇴계와 더 이른 시기부터 교유가 있었을 것이라는 추정과 『한강집(寒岡集)』에 나타난 황준량의 평가를 기반으로 변무를 시도하였다. 이때의 출향에 찬성한 인물과 반대한 인물을 살펴보면, 출향의 저변에는 당파적 요인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3차 변무기(1865)는 변무록 간행과 관련한 시기로, 1775년 김응연(金應淵)이 자신의 조부인 김덕안(金德安)이 반궁에서 상사를 만난 경험을 기술하여 황준량과 동명의 인물이 존재했음을 확인했고, 그 뒤 황대린(黃大鱗)이 최봉환(崔鳳煥)을 만나 동명 인물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이로 인해 그동안 증명할 수 없었던 황준량에 대한 무고를 변무할 수 있었다. 이에 황범린(黃範鱗)이 변무록을 간행하였고, 1866년 김병학(金炳學)의 건의로 황준량의 증직(贈職)이 이뤄졌다. 이로 인해 황준량의 무고에 대한 변무는 완성되었다.
    『금계선생변무록』 본문과 서문 및 발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문은 주제를 중심으로 시간 순서를 감안하여 배치되었다. 이는 19세기에 나타난 변무록의 정형화된 구성을 갖춰가는 단계에서 나타난 구성 방식이다. 『금계선생변무록』은 2종의 판본이 있는데, 모두 목활자본으로 각각 9행 20자본과 10행 20자본이다. 이 중 9행 20자본은 1865년에 김진하(金鎭河)가 『백남집(白南集)』을 간행하기 위해 마련한 목활자를 빌려 황범린이 간행한 것이고, 10행 20자본은 1923년에 황영래(黃永來)가 족보, 선조의 문집 등 여러 책의 간행에 참여한 것을 통해, 조상 추숭의 목적으로 간행한 것으로 추정된다.

    영어초록

    The Byeonmu(辨誣) is to discriminate unfair cases, and the Byeonmurok(辨誣錄) means the literature containing contents of such discriminations.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malicious prosecution(誣告) regarding Hwang Junryang(黃俊良)’s exile from Ugyangseowon(郁陽書院), the Byeonmu process of him and publication background of it, through the Guemgyeseon‒saengbyeonmurok, in the Byeonmurok. In spite of short life and short period of learning under Toegye(退溪), Hwang Junryang became an important person in Toegye school. So, he was enshrined in the Ugyangseonwon located at Punggi(豊基) province. The Byeonmu of his exiles were implemented across largely three periods. The first Byeonmugi(1674‒1675) caused by Sun Heungin who cherished enmity against Hwang Junryang is based on Toegye’s conduct mark against the malicious prosecution on the basis of Jimun(誌文) and Galmun(碣文) of Gang Yuseon(康惟善), which were written by No Sushin(盧守愼) and Sim Huisu(沈喜壽). The second Byeonmugi(1686‒1689) is about the exile determined from a discussion based on an appeal by Lee Seon(李選) in the Court. Here, the Byeonmu was attempted based on the evaluation of Hwan Junryang, included in Hangangjip(『寒岡集』) along with the arguments in the first Byeonmugi. The existence of a factional factor underlying the exile is conjectured. The third Byenmugi(1865) is a period related with the publication of Byeonmurok, where the Byeonmu was conducted by collecting information about a person of the same name, who could not demonstrated until the second Byeonmugi.
    Guemgyeseonsaengbyeonmurok consists of the text, prologue and epilogue, and the text is arranged around the subject, given the order of time. This was a typical construction of the Byeonmurok appearing in the 19th century. Guemgyeseonsaengbyeonmurok is divided into two kinds of editions, both of which are the Wooden Type Printing Books with 9 lines 20 letters and 10 lines 20 letters, respectively. The first edition with 9 lines 20 letters was published by Hwang Byeomrin(黃範鱗) in 1865, by borrowing wooden movable type developed by Kim Jinha(金鎭河) to publish Baek Namjip(『白南集』). The second edition with 10 lines 20 letters was published by Hwang Yeongrae(黃永來) in 1923, for the worship of his ancesto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