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趙旅(1420~1489) 현창과 함안 西山書院의 역할 -西山延諡錄을 중심으로 (The Role of Haman Seosan Seowon (西山書院) in Honoring Cho Ryeo (趙旅) -Focusing on the Seosan Yeonsirok (西山延諡錄)-)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24.12
30P 미리보기
趙旅(1420~1489) 현창과 함안 西山書院의 역할 -西山延諡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서원학보 / 19호 / 441 ~ 470페이지
    · 저자명 : 김현지

    초록

    함안 서산서원은 생육신 元昊・金時習・李孟專・成聃壽・南孝溫・趙旅 여섯 명을 처음 합향한 서원이다. 1703년(숙종 29) 건립되어 1713년(숙종 39) 賜額이 이루어졌으며, 1784년(정조 8)에는 이 서원에서 성담수・남효온・조려에 대한 합동 延諡가 거행되었다. 연시는 본래 대상자의 후손이 私家 또는 任地에서 시호 교지를 받드는 의례로, 서원에서 다수의 인물이 한꺼번에 시호를 받는 것은 드문 사례였다. 이 서산서원의 연시는 중앙의 함안조씨와 경상도 재지사족들의 긴밀한 협력 아래 진행되었다. 창녕성씨, 현풍곽씨, 진양하씨 등이 협력하였으며 함께 시호 의정을 준비한 이맹전의 후손들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이 연시를 준비하고 진행한 과정은 西山延諡錄 으로 정리되었다.
    이는 ‘생육신’으로서의 존재감이 김시습이나 남효온 등의 인물에 비해 미약했던 조려를 추숭하기 위한 함안조씨 가문의 현양 사업이었다. 결과적으로 조려는 서원 건립 및 연시 행사를 통해 의심받지 않는 생육신으로서의 지위를 획득하였다. 이후 함안을 중심으로 함안조씨 인물들의 충절 현창도 대대적으로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경상우도 지역의 여러 서원에서 咸安趙氏十忠實錄 등 함안조씨 인물들의 행적을 기리는 저술이 간행되었고 함안지역 읍지류의 내용도 변화하였다. 이 일련의 현양 사업을 통해 함안조씨 가문은 조상의 위상과 가문의 지역 기반을 강화할 수 있었고, 국왕 정조 역시 절의를 강조하는 사회적 분위기에 부응하여 자신의 지지집단을 공고히 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Haman Seosan Seowon (西山書院) is the first Confucian academy (seowon) to jointly enshrine six members of the Saengyuksin (生六臣, six living ministers): Won Ho (元昊), Kim Si-seup (金時習), Yi Maeng-jeon (李孟專), Seong Dam-su (成聃壽), Nam Hyo-on (南孝溫), and Cho Ryeo (趙旅). This seowon was established in 1703 (the 29th year of King Sukjong’s reign) and officially recognized in 1713 (the 39th year of King Sukjong’s reign). In 1784 (the 8th year of King Jeongjo’s reign), a joint posthumous title conferment (yeonsi, 延諡) ceremony was held at this seowon for three members: Seong Dam-su, Nam Hyo-on, and Cho Ryeo. Posthumous title conferment ceremonies (yeonsi, 延諡) traditionally involved descendants receiving the royal decree of posthumous titles (siho, 諡號) in a private residence (saga, 私家) or at the deceased’s place of office (imji, 臨地). Thus, the rare occurrence of multiple individuals receiving posthumous titles simultaneously at a seowon underscores the significance of this event. The yeonsi at Seosan Seowon was conducted with close collaboration between the Haman Cho clan (Hamanjossi, 咸安趙氏) at both central and local levels and the local gentry of Gyeongsang Province (jaejisajok, 在地士族). Other prominent clans, including the Changnyeong Seong clan (Changnyeongseongssi, 昌寧成氏), Hyeonpung Gwak clan (Hyeonpunggwakssi, 玄風郭氏), and Jinju Ha clan (Jinyanghassi, 晋陽河氏), cooperated, and descendants of Yi Maeng-jeon also actively participated in preparing the ceremony. The entire preparation and proceedings of the ceremony were recorded in the Seosan Yeonsirok (西山延諡錄).
    This effort was part of the Haman Cho clan’s project to elevate the status of Cho Ryeo, whose recognition as a member of the Saengyuksin was relatively weak compared to figures like Kim Si-seup or Nam Hyo-on. Ultimately,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Seosan Seowon and the yeonsi ceremony, Cho Ryeo solidified his position as an undisputed member of the Saengyuksin. Following this, the loyalist achievements of the Haman Cho clan were extensively honored, centering around the Haman region. As part of this process, members of the Haman Cho clan were enshrined at various seowons across the Gyeongsang Right Province (Gyeongsangu-do, 慶尙右道). Publications such as the Haman Cho Clan’s Ten Loyalists’ Records (Hamanjossisipchungshillok, 咸安趙氏十忠實錄) were produced to commemorate their deeds, and the content of local gazetteers (eupji, 邑志) in the Haman area was also revised. Through these successive projects, the Haman Cho clan not only enhanced their ancestors’ status but also consolidated their regional base. Similarly, King Jeongjo supported this endeavor to reinforce his loyalist faction and align with the broader societal emphasis on integrity and loyal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서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