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千一錄』의 人物傳을 통해 본 禹夏永의 敎化論 (The reformation theory of Wuhayeong(禹夏永) through biographical writings in Cheonilrok(千一錄))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6.12
32P 미리보기
『千一錄』의 人物傳을 통해 본 禹夏永의 敎化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문화연구 / 56권 / 56호 / 71 ~ 102페이지
    · 저자명 : 김정녀

    초록

    본고는 취석실(醉石室) 우하영(禹夏永)의 문집 『천일록(千一錄)』에 수록된 인물전(人物傳)을 대상으로 우하영이 당대 사회를 어떻게 인식하였으며, 어떤 방법으로 사회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고자 했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그간 우하영은 ‘농업사상가’, ‘실학자’로서 주목 받았으나, 『천일록』에는 농업사상 외에도 사회의 폐단을 개혁할 각종 구폐책(救弊策)들이 수록되어 있으며, 특히 「잡록(雜錄)」에는 그가 교화의 핵심 주체로 상정하고 있는 인물들의 구체적인 면모를 형상화한 인물전이 다수 수록되어 있다.
    우하영은 백성들의 윤리를 바로잡고 세교(世敎)에 보탬이 되고자 하는 뜻을 담아 「잡록」을 편찬하였는데, 「잡록 상」에서는 73인의 인물 행적을 (1) 효행(孝行), (2) 충의(忠義), (3) 정렬(貞烈), (4) 강직(剛直), (5) 인후(仁厚), (6) 수재(守宰) 등의 여섯 항목으로 분류하여 입전하였다. 이 중 우하영의 교화에 대한 생각이 가장 잘 드러나 있는 항목은 (6) 수재이다. 당시의 도덕적 타락을 교화하기 위해서는 법과 형률을 시행하는 수령(守令)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인식하고, 26인의 인물 행적을 통해 명철함과 지혜, 청렴과 성실, 예의와 자량(慈諒) 등을 두루 갖춘 수령이라야 공정하게 송사(訟事)를 처리하고 백성을 제대로 교화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우하영은 수령이 공정하고 상벌 또한 공정하게 실현된다면 사회의 폐단을 제거할 수 있을 것이고, 백성과 풍속이 교화된다면 효행, 충의, 정렬, 강직, 인후 등의 도덕으로 백성들을 가르칠 수 있다고 보았다. 도덕적 품성을 두루 갖춘 백성들이 서로를 권면하는 그러한 사회가 우하영이 지향한 사회이며, 이를 위해 저자는 고금 인물들의 행적을 두루 모아 인물전을 편찬한 것이다.
    또한 우하영은 「잡록 하」에서 임진란 때 전사한 함흥 출신의 장수(將帥) 유응수(柳應秀)의 행적을 통해 출신 지역으로 인하여 그 정충(精忠)과 대절(大節)이 후세에 전해지지 않음을 안타까워하였으며, 억울한 누명을 쓰고 죽은 유연(劉淵)의 옥사(獄事)를 통해서는 형벌을 관장하는 이들이 사안(事案)을 신중하게 살펴 송사(訟事)를 공정하게 처리해야 함을 경계하였다. 공정한 상벌(賞罰)과 공정성을 실현할 수 있는 수령의 존재는 우하영이 지향하는 사회, 즉 도덕적 교화가 가능한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전제 조건이라 할 수 있다.
    본고는 우하영의 인물전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로서 의미를 지닌다. 그간 소홀히 다뤄져온 『천일록』 소재 인물전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과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우하영이 어떤 방법으로 백성을 교화하고자 하였는지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우하영의 인물전에 대한 학계의 관심과 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researched how the writer understood a reality how he intended to lead the society in the right direction, targeting biographical writings in Cheonilrok(千一錄), Chiseoksil(醉石室) Wuhayeong(禹夏永)’s collection of works. Meanwhile, Wuhayeong received attention as an agricultural thinker or a Silhak(實學) scholar. But in Cheonilrok there are not agricultural thinking but reformation plans for social problems, and especially in ‘Japrok’(雜錄) there are many biographical writings that concretely described the agent of enlightenment.
    Wuhayeong compiled ‘Japrok’ to adjust ethics and help to teach people, and in ‘Japrok, sang(雜錄, 上)’ classified 73 persons’ whereabouts as (1) filial behavior (2) loyalty (3) a lady of virtue (4) rigidity (5) generosity (6) jefe. Among these, the article that Wuhayeong’s thinking about reformation was well represented was (6) jefe. The writer realized the roles of jefe in order to reform a moral gangrene. Through 26 persons’ whereabouts, he showed that only jefes who had wisdom, brilliance, integrity, faithfulness, manner and mercy, could equally take legal proceedings and enlighten the people well.
    Wuhayeong thought that if jefe were even-handed and equally took legal proceedings, social evil would be able to eliminated and if the people and custom were reformed, the people would be taught with the morals as filial behavior, loyalty, a lady of virtue, rigidity, generosity and so on. The society that the people with good moral character encouraged one another was the society that Wuhayeong aimed at, and for this the writer compiled biographical writings collecting the ancient and modern ages people's whereabouts widely.
    Also in ‘Japrok, ha(雜錄, 下)’ through whereabouts of Yueungsu(柳應秀), the commender who was born in Hamheung(咸興) and died in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Wuhayeong felt sorry that Yueungsu’s royalty and chastity were not known for because of his hometown. And also through Yuyeon(劉淵) who died under a false accusation, he emphasized that the jefes who judged people must survey carefully and treat equally. The existence of the jefe who could realize a fair reward and punishment is the premise for the society that Wuhayeong aimed and the moral reformation was possible.
    This study is meaningful as the intelligent study for Wuhayeong’s biographical writings. As I analyzed the concrete contents and properties of biographical writings in Cheonilrok that was not interested meanwhile, I researched how Wuhayeong intended to reform the people. Through this study, I expect the interest and the study of the academic world for Wuhayeong’s biographical writ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