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과원오선사벽암록(佛果圜悟禪師碧巖錄)』의 편찬과 수용 (A Study on the Compilation and Acceptance of the Blue Cliff Record(碧巖錄))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4.12
35P 미리보기
『불과원오선사벽암록(佛果圜悟禪師碧巖錄)』의 편찬과 수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지학연구 / 60호 / 109 ~ 143페이지
    · 저자명 : 송정숙

    초록

    이 연구는 화두를 통한 수행을 강조하는 스님들 사이의 선문답을 모아놓은, 이른바 간화선(看話禪)의 교과서라 할 수 있는 공안집인 『벽암록』을 대상으로 『벽암록』의 편찬과 중간, 저자와 구조 등을 살펴보고, 한국에서 『벽암록』의 수용과 전개양상을 살피기 위해 현존하는 판본인 을유자본과 목판본의 서지사항, 편찬체제 등을 비교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1) 설두중현의 『송고백칙(頌古百則)』을 강의한 원오극근의 강의록[벽암록]을 원오의 제자들이 1105년경부터 모으기 시작했으며, 1125년에는 이미 『벽암록』이 필사되어 널리 유포되었다. 필사본 『벽암록』은 강의장소에 따라 내용이 상이한 성도본(成都本), 협산본(夾山本), 도림본(道林本)의 3종이 존재했다.
    2) 『벽암록』은 원오극근이 입적하기 전인 1128년경에 처음으로 간행된 후 많이 유포되자 문자에 대한 집착을 경계한 대혜종고에 의해 1163년[대혜의 몰년] 이전에 소실되었고, 처음 간행된 지 172년 만인 1300년에 원나라의 장명원에 의해 중간(重刊)되었다. 장명원은 중간할 때 사본(寫本), 설당간본(雪堂刊本), 촉본(蜀本) 등의 이본을 참고했다.
    3) 『벽암록』은 고려와 조선조에서 적극적으로 수용되지 않았다. 따라서 조선시대에 간경도감에서 국역되지도 않았고, 주석서나 비평서도 편찬되지 않았다.
    4) 새로 소개되는 목판본인 심원사판 『벽암록』은 보물로 지정된 을유자본 『벽암록』과 서지사항을 비교하면, 계선과 흑구의 차이만을 제외하면 동일하다. 이를 볼 때 심원사판 『벽암록』은 보물로 지정된 을유자본 『벽암록』의 번각본이다.
    5) 을유자본 『벽암록』은 10권5책, 심원사판 『벽암록』은 4권1책으로 전자는 고칙 100개를 다 수록하고 있는데 비해, 후자는 1-40까지 40개만 수록하고 있다. 따라서 심원사판 『벽암록』은 을유자본 『벽암록』의 축약본은 아니다.
    6) 『벽암록』에 대한 국역서가 1990년대 이후에 많이 발행되는 것으로 볼 때,『벽암록』이 대중화, 일반화되는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라고 하겠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mpilation, reprinting, authors and the structure of the Kōan collections. The collection records the statements and actions of eminent practitioners of Chán. Also known as the Blue Cliff Record(碧巖錄), it is a model text for instruction in the practice of Chán, a Buddhist meditation(看話禪). The meditations are presented through conversations between monks practicing asceticism. To examine the dissemination and acceptance of the Blue Cliff Record in Korea, this study compares and systematically analyzes the structure and bibliographic style of two existing editions of the text: the Eulyu metal type version (named for the year it was cast and printed) and a wood block printed ver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1) The deciples of the Chan Master Yuanwu have started collecting their master’s lectures on Chán Master Xuedou Chongxian’s Songgu baize(頌古百則) circa 1105. The notes taken by Yuanwu’s disciples were gathered and compiled as the Blue Cliff Record, and it was transcribed and widely disseminated in 1125. Depending on the lecture place, the manuscript of the Blue Cliff Record exist in three different kinds of versions, Seongdobon(成都本), Hyeopsanbon(夾山本), Dorimbon(道林本).
    2) The Blue Cliff Record was printed and disseminated in 1128 for the first time before Yuanwu Keqin passed away. However, it was destroyed by Dahui Zonggao (1089-1163) who afraid of people’s obsession with the Buddhist text before the year 1163. It was reprinted by Jang Myeong Won of the Yuan Dynasty in 1300, 172 years after it was first published. Jang Myeong Won referred to the three different editions of the Blue Cliff Record: Manuscript[寫本], Seoldangganbon(雪堂刊本) and Chokbon(蜀本).
    3) ‘Blue Cliff Record’ was not widely accepted during the Goryeo and the Joseon Dynasty, as the book was not translated into Korean by Gangyeongdogam(government office for publishing Korean-version Buddhist texts), and its explanatory verses or commentary were not published.
    4) According to the study, the only difference between the newly introduced Simwon Temple version and the Eulyu Version of the Blue Cliff Record, lies in the style of bibliography, relating to two textual features, Gyeseon(界線) and ‘Heukku(黑口)’. Thus, the Simwon Temple version of the Blue Cliff Record may be considered a reprint of the Eulyu version, a national treasure.
    5) The Eulyu version of the Blue Cliff Record consists of ten volumes and five books while the Simwon Temple version has four volumes and one book. The former contains all 100 Kōan, while the latter contains only 40 koan, from 1 to 40. This shows that the Simwon Temple version of the Blue Cliff Record is not a condensed version of the Eulyu text.
    6) With the publication of a Korean version of the Blue Cliff Record in around 1990, the popularity of ‘Blue Cliff Record’ is a relatively recent phenomen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