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리노 나쓰오의 소설에서 보이는 일본의 격차사회 표상 - 『아웃』과 『메타볼라』에서 드러나는 계층성을 중심으로 - (The Representation of Japan’s stratified Society as depicted in Natsuo Kirino's Novels : Focusing on the Social Stratification in Out and Metabola)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24.08
21P 미리보기
기리노 나쓰오의 소설에서 보이는 일본의 격차사회 표상 - 『아웃』과 『메타볼라』에서 드러나는 계층성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日本學(일본학) / 63권 / 307 ~ 327페이지
    · 저자명 : 이정화

    초록

    그동안 기리노 나쓰오의 소설세계를 설명하는 키워드 가운데 하나로 ‘격차’가 논의되며 선행연구에서는 그 격차의 형성과 등장인물들이 중산층에서 그 아래로 밀려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노동의 문제에 초점이 맞춰졌지만 본 논문은 기리노는 같은 계층 안에서도 여러 층위를 그려내고 있다는 점을 고찰하였다.
    아웃 과 메타볼라 를 통해 작가는 등장인물이 처한 상황을 본인의 의지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갇힌 공간’으로 연출하고, 이에 대응하는 캐릭터들의 선택을 그려내는데 그 과정에서 전지적 작가 시점을 선택하여 제3자의 입장을 유지하는 서술은 독특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작가는 아웃 과 메타볼라 에서 자신에게 유리한 판단을 내려 바른 선택을 하는 인물과, 실패하는 인물 모두를 조명하는데, 이 부분은 선행연구의 지적처럼 일본 사회에 존재하는 격차가 분명 구조적으로 만들어지는 측면도 있지만 반대로 등장인물의 선택의 문제로 보여지는 부분이 있다. 이는 소설 속에서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착취의 묘사를 통해 사회 구조의 문제를 지적한 것과는 상충되어 독자로 하여금 혼란을 일으키게 만드는데, 바로 이 지점에서 기리노는 격차사회를 구성하는 저변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보여줌과 동시에, 이들에 대한 사회적 평가까지도 소설을 통해 재현한다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One of the key concepts discussed in explaining Natsuo Kirino’s literary world has been “disparity”, with previous research focusing on the formation of this disparity and the issues of labor experienced by characters as they are pushed down from the middle class. However, this paper examines how Kirino portrays multiple layers within the same social class.
    In Out and Metabola, the author depicts the situations faced by the characters as “trapped spaces” that cannot be resolved solely by their own will, and she uniquely maintains a third-person perspective through omniscient narration, illustrating the choices made by the characters in response to their situations. Furthermore, in Out and Metabola, Kirino highlights both characters who make the right decisions by choosing favorable outcomes and those who fail. This aspect suggests that while the disparities in Japanese society are indeed structurally created, as pointed out by previous studies, there is also an element that seems to stem from the characters’ choices. This creates a contradiction with the detailed and realistic depiction of exploitation in the novels that critiques social structures, leading to a sense of confusion for the reader. It is precisely at this point that Kirino not only realistically portrays the underlying aspects of a stratified society but also reproduces the social evaluations of these individuals through her nove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日本學(일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