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양주 노고산(老姑山) 독재동(篤才洞)의 장소성과 역사문화경관 해석 (A Interpretation on Placeness and Historic Cultural Landscape of Dokjae-dong on Nogosan, Yangju)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5.03
13P 미리보기
양주 노고산(老姑山) 독재동(篤才洞)의 장소성과 역사문화경관 해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통조경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33권 / 1호 / 97 ~ 109페이지
    · 저자명 : 노재현, 김화옥, 이정한, 박주성

    초록

    본 연구는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삼하리 독재동 바위글씨와 노고산의 장소성에 주목하여, 이곳의 경관 및 장소특질을 고찰하고 바위글씨에 담긴 경관의미를 추론함으로써 노고산과 독재동 계곡의 역사문화경관적 함의를 밝히고자 한 것으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삼각산은 조선왕조 6백년 도읍지의 주산(主山)이며 오악(五嶽)을 이루는 중앙의 성산(聖山)으로, 노고산은 삼봉산(三峰山) 즉 삼각산의 우람한 세봉우리를 향배하는 의미공간으로서 그 장소성이 획득된다. 더불어 노고산은 조선의 정기를 상징하는 삼각산을 가장 완벽하게 조망할 수 있는 ‘망삼각산(望三角山)’의 절대 시점장이다. 독재동 계곡에 산포(散布)된 다수의 바위글씨는 미수 허목의『고양산수기』의 내용을 현현(顯現)하기 위한 행위이자 경물로 재생산된 산물이다. 그리고 추사 필적의 몽재(夢齋)는 중의적(衆意的) 표현이 읽혀지는 바위글씨로, 먼저 글자 그대로의 뜻인 ‘꿈꾸는 집’ 이지만 내면적 의미는 “한낮 몽상(夢想)도 바탕을 깊이 헤아려 보면 정당성이 확보된다.”는 의미로 ‘몽재거사’로 알려진 성재(性齋) 허전(許傳)의 『몽재집(夢齋集)』서(序)의 내용으로 보아 성재의 독재동 거주와 관련된 징표로 추정된다. 또한 몽재라 쓴 바위 하단의 갑자(甲子)·경오(庚午)·무술(戊戌)·갑인(甲寅) 등의 간지(干支)는 추사와의 교유관계가 있는 1804년 5월생 유생(儒生)의 사주팔자로 판단된다.
    노고산과 독재동 계곡은 삼각산을 조망하는 장소일 뿐 아니라 송월재·성재 등 미수의 학통을 계승한 기호지역의 남인학자의 공통된 장구지소로써의 응집력을 보여준다. 또한 이곳에 각자(刻字)된 추사체와 미수체(전서체) 바위글씨는 우리나라 서예사의 큰 흐름을 함축적으로 보여준다는 측면에서도 매우 의미 깊은 역사문화경관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placeness of Nogosan Dokjae-dong and rock inscription located in Jangheung-myeon, Yangju-si, Gyeonggi-do. The purpose was to reveal the implication of Nogosan and Dokjae-dong Valley in terms of Historic cultural landscape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and its landscape, and inferring the significance of the letters engraved on the rock. The result is as follows.
    Samgaksan is one of the five famous mountains in Korea. It is the sacred mountain that stands behind the capital city of the Joseon Dynasty that lasted for 600 years. On the other hand, the placeness of Nogosan is significant since it was the place where people used to bow low to the three great summits of Samgaksan. Furthermore, Nogosan was the perfect place to view Samgaksan that represented the Joseon spirit.
    Many letters were engraved on the rocks around Dokjae-dong Valley by Misu(眉叟) Heo Mok(許穆) as part of his memories to describe his experience in the mountain and became a scenery. Chusa(秋史) Kim Jung-Hee(金正喜) also engraved letters of 'Mongjae' on the rock that contains a double meaning. Literally, it means ‘a dreaming house’ However, it also implies that even just a daydream is significant in a way. These letters are presumed to be the signs that are related to Sung-Jae(性齋) Heo Jeon(許傳)’s experience in Dokjae-dong since the letters were part of his famous book title. Below these two letters, Chusa also engraved letters that describe the sexagenary cycle including the year of the rat, horse, dog, and tiger. They are regarded as the letters that describe the fate of Chusa’s friend, a scholar born in May 1804.
    Nogosan and Dongjae-dong Valley are very significant in terms of historic cultural landscape as a viewpoint to see Samgaksan; and a place that cherishes the traces of Misu and shows common values and cohesiveness of well-known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including Song Wol-Jae(松月齋) and Sung-Jae as a of Gihonamin(畿湖南人). The engraved letters of Chusa and Misu also implicitly demonstrates the major trends of Korea’s calligraphy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전통조경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