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에르미따쉬 미술관 소장 吐魯番 出土 <千手千眼觀世音菩薩圖> (Thousand-Armed Avalokitesvara of Turfan in the Collection of the State Hermitage Museum of St. Petersburg)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1.12
32P 미리보기
에르미따쉬 미술관 소장 吐魯番 出土 &lt;千手千眼觀世音菩薩圖&gt;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71272권 / 271272호 / 291 ~ 322페이지
    · 저자명 : 조성금

    초록

    본 논문은 密敎界 관음으로 알려진 千手千眼觀世音菩薩과 주위 眷屬들의 도상학적 근원에 대한의문점에서 시작 되었다. 일반적으로 천수관음과 28部 권속의 도상학적 근거가 『千手千眼觀世音菩薩廣大圓滿無 大悲心陀羅尼經』, 『千手觀音造次第法儀軌』 등 천수관음 관련 경전들이라고 알려져 왔으나,천수관음 관련 경전들에서는 에르미따쉬 미술관 소장 투르판 출토 <千手千眼觀世音菩薩圖>의 도상학과 도상적 근원을 찾을 수 없었다.
    본 그림은 五佛과 주존인 천수관음 및 권속 그리고 위구르 발원자로 구성된 그림으로 천수관음의脇侍인 婆藪仙과 功德天 이외에 여러 도상들이 천수관음의 권속으로 구성되어 있어 이들 도상들의 근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런데 『大日經』을 도해한 胎藏界 曼茶羅의 中臺八葉院·虛空藏院·蓮華部院·持明院에서 五佛·바수선과 공덕천을 협시로 하는 천수관음·諸보살들·명왕의 근거를 찾을 수 있었다. 따라서 에르미따쉬 미술관 소장 <천수관음도>의 도상학적 근거는 『大日經』이며, 도상적 근원은 胎藏界 曼茶羅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작시기 설정은 투르판 베제클릭석굴 사원의 채색 및 벽화에 묘사된 공양자의 복식 그리고 투르판 출토 여래상과의 비교를 통하여 투르판 위구르 왕국의 최고 전성기인10세기 중반에서 11세기 전반기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천수관음을 중심으로 한 이와 같은 그림이 그려질 수 있었던 배경으로 『千手千眼觀世音菩薩廣大圓滿無 大悲心陀羅尼經』이 위구르어로 번역·유포될 만큼 당시의 투르판 지역에 천수관음 신앙이 성행하였을 뿐만 아니라, 당 황제들의 밀교 신봉과 천수관음의 大悲的 성격 그리고 『大日經』의 天山北路를 통한 전래를 언급하였다.
    중앙아시아지역 천수관음도 중에서 본 그림과 같이 태장계 만다라의 허공장원을 도상적 근원으로하여 제작되었을 것으로 짐작되는 천수관음도를 오불을 비롯한 태장계 만다라의 구성요소를 충실하게표현한 작품과 천수관음을 주존으로 하여 태장계 만다라의 구성요소 가운데 극히 일부만을 차용하여표현한 작품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태장계 만다라의 일부만을 차용한 작품들은 유림굴 39굴과 베제클릭석굴 41굴을 제외하면 돈황 지역을 중심으로 10세기 이전에 제작되었으며, 반면에 태장계 만다라의 구성요소를 충실히 옮긴 에르미따쉬 미술관의 <천수관음도>와 유림굴3굴 동벽 벽화는 10세기 이후에 제작되어진 작품이었다. 그러나 두 경우 모두 바수선과 공덕천을 좌우협시로 하는 천수관음을 표현하고 있어 도상적 근원은 역시 태장계 만다라에 두고 있다고 보았다.에르미따쉬 미술관 소장 <천수관음도>는 천수관음을 중심으로 하여 태장계 만다라의 세계를 재구성하였을 뿐만 아니라, 대승불교의 千佛 그리고 투르판 지역 불화의 특색인 발원자를 등장시키는 등투르판 위구르 왕국의 불교회화의 경향을 짐작하게 하는 대표적인 사례라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stemmed from the curiosity I felt about the iconographic origin of the representation of the Thousand-armed Avalokitesvara, an esoteric Avalokitesvara, and her attendants and other figures surrounding her.
    The iconographic source of the Thousand-armed Avalokitesvara and her retinue of twenty-eight is generally believed to be Thousand-armed Avalokitesvara-related sutras,such as the Thousand-Hand, Thousand-Eye Guan Yin Great Compassion Dharani Sutra (千手觀音造次第法儀軌). But, none of these sutras actually contains information related to the iconography or iconographic origin of the Thousand-armed Avalokitesvara of Turfan in the collection of the Hermitage Museum of St. Petersburg.
    This painting features, alongside the Thousand-armed Avalokitesvara and her attendants, the Five Buddhas and the Uyghur man who commissioned the painting. The retinue includes several figures, apart from known attendant Buddhas of the Thousandarmed Avalokitesvara such as Vasu and Sri-mahadevi,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e them back to their iconographic sources. I was able to identify the iconographic sources of the Thousand-armed Avalokitesvara having the Five Buddhas, Vasu and Sri-mahadevi, and other Bodhisattvas and kings in the Eight Petaled Hall, Hall of Space, LotusHall and the Simyeong Hall in the Garbhadhatu Mandala, based on the Mahavairocana Sutra (Mahavairocanabhisambod-hi-vikrvitadhisthana-vaipulya-sutrendra-raja-namadharmaparyaya).
    Hence, the iconographic origin of the Thousand-armed Avalokitesvara of the Hermitage Museum proved to be the Mahavairocana Sutra, and its exact iconographic source was the Garbhadhatu Mandala.
    As for the time of its creation, based on the colors of the Bezeklik Caves of Turfan and clothes worn by the faithful depicted on the murals in the Caves, and through comparison with the Buddhist sculptures discovered in Turfan, I have dated the Thousand-armed Avalokitesvara to the mid-10th century to the early 11th century.
    As the background to the creation of this Buddhist painting centered on the Thousandarmed Avalokitesvara, I have discussed how there was a popular cult of the Thousandarmed Avalokitesvara across the Turfan region, as attested to by the translation of the Thousand-Hand, Thousand-Eye Guan Yin Great Compassion Dharani Sutra into Uyghur and the wide circulation of this translated version. I have also mentioned of the strong support for esoteric Buddhism from Tang emperors, the fact that the Thousand-armed Avalokitesvara is a Bodhisattva symbolizing mercy and benevolence, and the fact that the Mahavairocana Sutra was brought in the region through the north piedmont of Tianshan.
    I have examined two different types of paintings of the Thousand-armed Avalokitesvara from the Central Asian region: paintings, ostensibly based on the Hall of Space in the Garbhadhatu Mandala, which incorporate most of its elements including the Five Buddhas, and those others borrowing only a few of its elements. The results of this examination indicate that those paintings borrowing only some of the elements of the Garbhadhatu Mandala were created before the 10th century, mainly in the Dunhuang region - except Mogao Cave 39 and Bezeklik Cave 41. Meanwhile, those incorporating most of the elements of the Garbhadhatu Mandala such as the Thousand-armed Avalokitesvara of the Hermitage Museum and murals in Mogao Cave 3 were created after the 10th century.
    The two types appear, however, to be clearly based on the Garbhadhatu Mandala, as they both feature Vasu and Sri-mahadevi as the left and right attendants of the Thousand-armed Avalokitesvara.
    The Thousand-armed Avalokitesvara of the Hermitage Museum is significant in thatit not only re-arranges the universe of the Garbhadhatu Mandala, centering it around the Thousand-armed Avalokitesvara, but it is also richly informative of Buddhist paintings of the Uyghur kingdom of Turfan, in the inclusion of the Thousand Buddhas of Mahayana Buddhism as well as in the featuring of the painting’s commissioner; a characteristic aspect of Turfan Buddhist paint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