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혼 자녀 부부의 노부모 돌봄에 대한 도덕적 정체성의 정당화 (Married Children's Justification of Moral Identities as Caregivers of Elderly Parent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1.06
36P 미리보기
기혼 자녀 부부의 노부모 돌봄에 대한 도덕적 정체성의 정당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가족학회
    · 수록지 정보 : 가족과 문화 / 23권 / 2호 / 109 ~ 144페이지
    · 저자명 : 남궁명희

    초록

    이 글은 기혼 자녀 부부가 노부모 돌봄의 도덕적 자아를 어떻게 구성해 나가는지에 주목한다.
    생애이야기에 대한 서사분석을 통해 그 구성과정에 접근하였다. 생애이야기 속에서 개인의 전기적(biographical) 시간과 친족관계의 역사, 사회제도 및 주류 도덕론의 논거들이 어떻게 결합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자신의 도덕적 정체성을 어떻게 정당화하는지, 그 내용이 노부모돌봄에 어떤 함의를 갖는지를 살펴보았다. 먼저, 노부모 돌봄의 도덕성은 장남/비장남 부부별로그리고 개인의 생애주기에 따라서 변화하는 유동체로 존재하였다. 장남 부부는 장남직계가족제도가 상정한 돌봄 규범을 외적 강제 또는 내면화된 억압의 형태로 재구성하였다. 이 중에 부정적인 친족관계의 역사를 가진 아들과 며느리들은 제도를 비판하면서도 그 도구적 합리성 안에 비판적 성찰을 가두었다. 그 결과는 노부모 돌봄의 도덕적 주체임을 부인하는 것이었다. 다른 한편으로 연민과 애착에 기반을 둔 아들들은 제도가 상정한 규칙과 규범을 수용하였다. 하지만 이들은 관계 갈등 속에서 이성적 합리성의 논거를 구하였다. 한 장남 부부 사례는 장남과 외며느리정체성 하에서 자신이 정한 책임 이행의 규칙을 고착화하였다. 하지만 이들은 스스로 이행한 돌봄이 자신과 핵가족의 욕구를 스스로 억압한 딜레마에 처하였다. 이 딜레마는 돌봄생애의 가치와 감정을 무기력화시키는 것으로 표현된다. 비장남 부부들은 장남가족과의 돌봄협상이 결렬되는 친족관계의 역사를 모두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친족관계 경험 속에서 제도적 규칙 자체를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과정을 통해 이들은 도덕적 주체로 부상한다. 이들이 가져오는 도덕적 논거는 주로 상황적 합리성과 종교와 직업적 정체성으로 도덕적 지식의 훈육에 의한 의무감 서사의성격이 강하였다. 하지만, 이들은 실제로 돌보는 과정에서 친밀성의 기반이 부족해 돌봄이 의도한대로 잘 이루어지지 않는 도덕적 딜레마를 중심으로 서사를 전개하였다. 나아가 돌봄을 받는사람에 대한 도덕적 이해와 감성적 합리성을 통해 돌봄관계를 성장시키기도 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s discusses married adults childrens' justification of moral identity on their aged parents caring. The results was drawn on the narrative analysis of their life stories from the perspective of relational autonomy. The moral identity is negotiated all the life time. It is differently constituted and changed according to whether the case is the first-born son's or not, whehter he/she is child or in-law, and one's lifecourse. The eldest son's couple said that they took care of their parents 'forced' by the institutional filial piety norm. They denied their moral subjectivity as a care giver. One eldest son's couple, who had no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heartly accepted caring responsibility at first. At the result of the 10 year long caring, they justified their caring life as meaningless, since it sacrifices their needs of nuclear family and their own life. Most non-eldest children's couple were free from geneological ascriptive constraint, they built their moral subjectivity as a care giver based on the reasonal rationality such as the logic of context, the occupational and religious identity. They still felt elderly caring as a moral obligation disciplined with the moral knowledge. On the contrary,one of them shows moral understanding and emotional rationality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cared. And most non-eldest regret the absense of intimacy and commuincation with their parents. They are faced with a moral dilemma in which caring for oneself and one's nuclear family compete with his/her aged parents caring. This dilemma invoke them to search for reciprocity and equity among their brothers and sisters at great emotional expense. Based on the perspective of relational autonomy, this paper revealed that we have to get out from the moral politics of familialism and institutional filial piety norm to make the value of family caring and autonomy coexit. To transform the rule of reciprocity and equity based on the reasonal rationality into moral understanding and emotional rationality, it is revealed that we have to change moral boundaries among the society, the family, and the individu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