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 가훈의 형성과 전승 -파평윤씨 노종파 가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mergence and Succession of Family Mottos in the Lat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Based on the Cases of the Rhojongpa Family of Yun from the Papyeong Clan)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24.12
26P 미리보기
조선 후기 가훈의 형성과 전승 -파평윤씨 노종파 가문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태동고전연구 / 53권 / 61 ~ 86페이지
    · 저자명 : 고민정

    초록

    본고는 파평윤씨 노종파 가문의 사례를 통해서 조선 후기 가훈의 형성과 전승 과정을 고찰하였다. 파평윤씨가 니산현에 입향한 후 윤황은 「가훈」을, 윤순거는 「종약」을, 윤증은 「상례유서」와 「제례유서」를, 윤광소는 「가전록」을 차례로 집필하였고 윤홍규는 이를 정리하여 『노성가법』을 편찬하였다.
    이 가훈들은 자손들이 선조의 가훈을 직접 실천하면서도 그들에게 필요한 내용을 보완하는형식으로 후속 가훈을 집필하였기 때문에 일관된 체계를 갖출 수 있었다. 따라서 자손들은 가훈을 실천하며 전승하였을 뿐 아니라 집필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같은 가훈들은 성리학적 예제를 실천하기 위한 행례서의 성격을 띠었다. 즉, 관혼상제의 실천에 역점을 두면서도 첫째, 서인 계열의 예학적 성과를 반영하였고 둘째, 처음 가훈이 형성될 때부터 강조된 검약한 생활의 실천을 중시하였을 뿐 아니라 셋째, 시속의 유행과도절충하였다. 따라서 이들은 가훈을 집필하고 실천하는 행위를 반복함으로써 그들만의 가족문화를 정립하여 나간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has considered the emergence and succession of family mottos in the lat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based on the cases of the Rhojongpa family of Yun from the Papyeong clan. The Rhojongpa family of Yun from the Papyeong clan moved in Nisanhyeon town, and his son Yun Chang-se took up the residence in Byeongsari village. Afterward, 「Family Mottos」 were written by Yun-hwang, followed by 「Family Sect Rules」 of Yun Sun-geo, 「 Book on Funeral Rite」 and 「Book on Ancestral Ritual of Yun-jeung, and 「Book on Family Heritance」 of Yun Gwang-so, in turn. These texts on family mottos were finally compiled in 「Law of the Rhoseong Family」 by Yun Hong-gyu.
    These texts were left finished, as descendants themselves had practiced and passed down the family mottos of the ancestors to write the sequels to 「Family Mottos」, complementarily, according to the way they needed. Taking this into account, it must be noted that descendants not only practiced and passed down the family mottos but also undertook the activity of writing.
    Besides, these family mottos were written in a form of Haengyeseo or Code on Courtesy, for the purpose of practicing the Confucian idea. from the first time. In this regard, the family of Yun from the Papyeong clan reflected the Code on Courtesy advocated by Seoins, with the focus on practicing the four ceremonial occasions of coming of age, wedding, funeral, and ancestral rites, and put weight on frugal life that the family emphasized since there had started appearing the family mottos, in constant concert with the trend of periodic custom. This shows that the family of Yun from the Papyeong clan established their specific family courtesy by continuing to practice family mottos and compile books on family mottos, over an about 2-century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태동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