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노상추일기로 본 조선후기 군호(軍號)에 담긴 생활상 연구 (A Study on the Lifestyle Reflected in the Military Passwords of the Late Joseon Dynasty: Viewed from the Diary of Noh Sang-chu)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23.06
41P 미리보기
노상추일기로 본 조선후기 군호(軍號)에 담긴 생활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 / 46권 / 2호 / 243 ~ 283페이지
    · 저자명 : 김윤희

    초록

    본고는 조선후기 군호 작명과 생활상의 관련성을 고찰하기 위해 법전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궁성 방위와 야금 순찰에 활용된 군호의 시달 체계를 살펴보고, 조선후기 무관인 노상추의 일기에 기록된 군호를 분석해 보았다.
    먼저, 조선시대 순작(巡綽)은 개국 초부터 시행되었고 경국대전에도 군호에 대한 언급이 나타난다. 군호 조목은 속대전에 이르러 추가되어 담당관, 제출시간, 기밀 누설 시 형별, 교외 거둥 시 재가 방법 등이 수록되었다. 특히 군호보고와 전달은 궁성문 폐쇄 시간과 관계되어 매일 신시(申時, 오후 3~5시)에 업무가 이루어졌으며, 국왕 부재에 따른 2가지 군호 재가 방식은 왕세자 책봉과 관련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은대조례에는 대상(大喪)을 당했을 때 전날계하한 군호를 공제(公除)까지 사용한다는 조항이 추가되었으며, 노상추일기에는 정조 국장 중 군호 계하 양상을 살필 수 있다. 이 밖에도 승정원일기를 통해 사례를 검토하여 피아식별용 암구호의 활용을 다각적으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노상추일기를 통해 정조~순조 연간인 1790년부터 1811년에 사용된 군호 422건을 목록화하였다. 군호는 모두 2글자 단어로 이루어졌으며, 사용 횟수에 따라 일회성 단어 234개, 2회 이상 사용된 단어는 55개로 총289개의 단어로 나타났다. 군호로 쓰인 단어는 왕실 행사, 무관 업무와 관련되며, 이 밖에도 비・눈・바람에 대한 관찰, 기우제 기간 중 강우 기원, 파종과수확, 24절기, 연월일의 순환, 자연 생태 순환 인식을 담은 물후, 탄일과 속절, 세시풍속 등과 관계된다. 따라서 각각 날씨, 농사, 월력, 기념일의 주제로 분류하여 군호에 반영된 생활상을 분석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encoded articles to understand the instruction system of military passwords used for royal palace defense and night patrols in the Joseon Dynasty. Additionally, it investigated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ming of military passwords and lifestyle in the late Joseon Dynasty by reviewing a diary written by Noh Sang-chu, a military officer.
    The practice of palace patrols commenc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military passwords are also mentioned in Gyeonggukdaejeon (經國大典). The articles about military passwords were added to Sokdaejeon (續大典), which included information regarding the official in charge of naming, submission time, punishments for intelligence leaks, how to obtain approval, periods without a king (in the event of his outing, for example) etc. In particular, military passwords were reported to superiors and subordinates were instructed about them during Sinsi (申時, 15:00~17:00), which was related with the closing time of the palace doors. Two kinds of approval of military passwords during periods without a king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the investiture of crown princes. An article indicates that the military passwords sanctioned by a king a day before the royal funeral were to be used until Gongje (公除) was added to Eundaejorye (銀臺條例), and it is possible to verify how military passwords were sanctioned during the state funeral of King Jeongjo from the Diary of Noh Sang-chu.
    Next, a list of 422 military passwords used during the period from King Jeongjo to King Sunjo (1790–1811) was created by referencing the Diary of Noh Sang-chu. All military passwords comprised 2 letters, and a total of 289 words could be divided by frequency of use: 234 words were used just once, while 55 words were used more than twice. The words used as military passwords were associated with royal events and military officers’ tasks as well as observations regarding rain/snow/wind, sowing and harvest, the 24 divisions of the year, the cycle of year/month/day, royal birthdays and ancestor-memorial days, seasonal customs, etc. Thus, we analyzed the lifestyle reflected in the countersigns by classifying them into several themes such as weather, farming, calendars, and anniversa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