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싱글 아들의 노부모 돌봄 경험과 돌봄 의식 (A Study on Unmarried Males’ Experience and Perception as a Caregiver for their Elderly Parent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21.03
36P 미리보기
싱글 아들의 노부모 돌봄 경험과 돌봄 의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가족학회
    · 수록지 정보 : 가족과 문화 / 33권 / 1호 / 1 ~ 36페이지
    · 저자명 : 조명아, 김주현

    초록

    이 연구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하는 한국 사회에서 부모 돌봄의 새로운 변화 중 싱글 아들 돌봄자에 주목하고 이들의 돌봄 경험과 돌봄 의식을 중점적으로 분석했다. 초고령화와 비혼화라는 인구 변화 속에서 나타나는 싱글 아들의 노부모 돌봄을 살펴보았으며, 젠더적 관점에서 ‘여성의 일’이었던 돌봄을 남성이 어떻게 인식하고 수행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싱글아들의 노부모 돌봄 수행에 대한 본질 파악이 연구목적이므로 개개인의 경험들을 수집, 분석하여 본질을 도출하는 현상학적 분석방법(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을 활용했다. 분석 결과, 5개의 본질주제로 ‘자기 성실성의 실천’, ‘사나이가 인식하는 젠더적 관점에서의돌봄’, ‘독박돌봄 수행의 어려움과 사회적 고립’, ‘부모와 자식 간의 당위성과 호혜성’, ‘부모 돌봄을 계기로 돌봄하는 ‘나’에 대한 성찰’이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를 세가지로 요약하면, 첫째, 싱글 아들 돌봄자의 돌봄 의식은 부모에 대한 자식의 도리로서 ‘효 의식’과 교환이론으로 설명되는 ‘보은 의식’이 교차하고 있다. 둘째, 싱글 아들 돌봄자는 성역할 분업의 재인식이 이루어지지만 수행적인 측면에서는 전통적 성역할에 따라 돌봄을 수행한다. 셋째, 비혼 돌봄자의 대부분은 독박 돌봄 상태에 있으며 이러한 상황은 외부적으로 소통을 기피하는 경향이 더해져서고립, 단절되기 쉽다. 본 연구는 싱글 아들 돌봄자에 주목함으로써 주돌봄자의 스펙트럼을 확장시키고, 남성의 돌봄 경험을 통해 돌봄의 탈젠더화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focused on single-son caregivers among the new changes in elderly care in the Korean society entering the super aging society, and focused on their caring experience and perception. This study examines the situation of caring for the elderly parents of single sons amid changes in the social structure of super aging and choosing to remain single, and attempts to confirm how men perceive and perform caring, which was a ‘woman's work’. As the main goal of this research was to study what allowed such men to continue to carry out this rol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to derive the essence by collecting and analyzing individual experiences. In this study, there are five Emergent Theme "Practice of Self-integrity", "caregiving seen as a gender role by the 'Tough Guy'", "the challenge of singlecare and isolating oneself from society", "sense of duty and reciprocality amongst parents and their children", and "self-reflection resulting from caregiving" was derived. The analysis results summarized in three conclusins.
    First, filial piety consciousness and exchange theory intersect in single son's care consciousness, and as the former is a dominant sentiment in Korea's society, the former precedes the latter. Second, while the male caregiver takes on a new perspective regarding sexual division of labor in their consciousness, in practice they carry out their role in the same manner as they have carried out their previous roles. Third, in the case of single male, as they are usually the sole caregiver, they easily end up shirking from communicating with not only whom they are caring for but also with the outside world, isolating themselves in the process. This study expands the spectrum of primary caregivers by focusing on single-son caregivers among them, and presents the possibility of degenderization of care through male caring experien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