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여성의 노부모 보살핌 경험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Women’s Experience about the Care for Elderly Parents)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1.02
40P 미리보기
여성의 노부모 보살핌 경험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여성학연구 / 21권 / 1호 / 83 ~ 122페이지
    · 저자명 : 이동옥

    초록

    본 논문은 여성들이 가족 내에서 노부모를 보살핀 경험을 어떻게 해석하고 의미를 부여하는가에서 출발한다. 한국에서 노인보살핌은 유교 효문화의 맥락에서 가족 내의 여성의 역할로서 인식되어 왔고 국가는 방임적인 자세를 취해 왔다. 현재 노인인구의 증가와 취업여성의 증가, 노인학대의 가시화 등으로 인해 노인보살핌의 제도화가 진행되고 있지만 가족, 특히 여성들은 노부모를 책임져야 한다는 의식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이 연구는 며느리와 딸의 위치에서 노부모를 보살핀 여성들에게 심층면접을 실시함으로써 여성들의 경험을 살펴보았다. 심층면접은 현재 서울에 거주하는 10명의 연구참여자에게 2-3차에 걸쳐, 1회에 1-2시간씩 실시되었다. 연구참여자들의 연령은 40대-70대까지 다양하다. 연령을 제한하지 않은 이유는 연령간의 차이를 통해 노인보살핌의 책임에 대한 시대적 변화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결과, 부계가족 내에서 시부모에 대한 며느리의 책임은 과거보다 줄어든 경향이 있지만, 여전히 며느리들은 의무감을 갖고 있었다. 반면에 친정과의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거나 부모와 함께 사는 딸들은, 부모에 대한 연민과 사랑으로 적극적으로 보살핌을 하고 있었다.
    하지만 노인보살핌은 정서적, 신체적, 정신적으로 힘든 노동이었다. 여성들은 노부모를 보살피기 위해 직장을 그만두거나 경력 단절을 경험한다. 여성들은 가족 내에서 아내, 어머니 등의 다중적인 역할에도 불구하고 남편의 도움을 받지 못했다. 이와 같이, 노인보살핌은 여성의 역할로 인식되고 있었기 때문에 여성들은 자존감이 저하되었다. 반면에, 여성들은 노부모 보살핌을 통해서 나이듦과 죽음을 삶의 과정으로 수용하고, 아픈 노부모와 교감하면서 시간을 함께 보낼 수 있다고 해석한다. 노인보살핌의 가치는 여성주의의 논의에서 간과되어 왔지만, 가치의 재평가는 여성문제로서 노인보살핌을 해결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노인보살핌의 제도화에도 불구하고, 시설과 유급노동자에 대한 불신과 노부모를 직접 보살피는 것이 효도라는 통념은 여성들의 부담을 경감시키지 못하고 있다. 가족의 틀 안에서만 노부모를 보살피는 것이 최선이라는 사고는 제도적 지원의 의미를 변형시키고 여성들의 역할을 고정시킨다. 노부모 보살핌이 여성들의소외된 노동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가족과 사회의 차원에서 정서적 지원과 남성들의 참여를 권장하는 한편, 제도적 차원에서 경제적 부담을 경감시키고 신뢰할만한 대체인력을 지원해야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starts from the question, how the women who offered care labor for their aged parents interpret and give meaning to their experiences. The elderly care in Korean family has been regarded as the gender role embedded in the cultural context of the Confucian filial duty and thus the government has ignored the issue in the public sphere. But the recent increase of the aged people and working women and the visualization of elder abuse stimulated the necessity of the institutionalization of elderly care. Nevertheless, the family and especially women are not free from the responsibility for the elders.
    This research inquires into the women’s experiences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with the women who cared for elderly parents as daughters or as daughters-in-law. The interviewees were 10 people living in Seoul. Each participant had two or three interviews, for one or two hours per each interview. Their ages are various from the forties to the seventies. The reason why there was no age restriction on interviewees was because this research was interested in any possible change resulting from age difference in the care of elderly parent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research, daughters-in-law's responsibility for parents-in-law in the paternal family tends to have lessened relatively compared with the past. Nevertheless,they still feel that they are responsible for the care of the parents-in-law. Meanwhile, the research shows that the daughters who live with their elderly parents or have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m care for them from their own hearts.
    Nonetheless, the care for elderly parents was physically, mentally, and emotionally hard work. Women quit the job and experienced the cutting of the career because of the care for elderly parents. Even though women played the multiple roles such as housewives and mothers, their husbands did not support them. Since the elderly care is regarded as the troublesome, odd jobs, and the gendered role, women’s self-esteem was depreciated. Meanwhile, women understood the fact that aging and dying is the course of life through their care for their parents and accepted their time with elderly parents as the precious opportunity to feel empathy with them. The value of elderly care has been ignored in the feminist discourses. But the revaluation of elderly care services will be helpful as women's issue.
    Despite the institutionalization of elderly care, women's care for elderly parents does not decrease due to distrust of institution and the prejudice that the care of elderly parents are women's job.
    The idea that the care for elderly parents within family boundary is filial duty fixes women's role and hamper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elderly care. In order not to alienate Women's care for elderly parents, society should encourage men's participation and their emotional and physical support for elderly care. The institutionalization of elderly care in the public sphere should also reduce the economic burden and support the reliable elderly ca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여성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