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함석헌 노자관의 특징과 의의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Ham Seok-Heon's View of Laozi)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6.10
25P 미리보기
함석헌 노자관의 특징과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새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논총 / 86권 / 4호 / 283 ~ 307페이지
    · 저자명 : 이종성

    초록

    함석헌의 사상은 크게 3단계의 변모를 보인다. 즉 20-30대의 민족주의와 민중사상, 40-50대의 비폭력주의와 평화사상, 60-80대의 생명사상과 민중 주체적 전체주의사상으로의 변모가 그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사상의 변모는 서로 단절된 것이 아니라 상호 밀접한 사상의 연관성을 그대로 유지한다. 한편 그 사상의 변모 속에서도 근원적으로 변하지 않는 한 가지가 있다. 그것은 바로 함석헌 자신이 ‘씨ᄋᆞᆯ’이라고 부른 민중 주체의 존재적 자각과 그들에 대한 애정이다.
    이 글은 함석헌이 40-50대에 집중적인 관심을 보이고 이야기하기 시작한 동양사상 중 노자에 관한 몇 가지 기본 입장을 살펴본 것이다. 나는 이 글을 통해 함석헌 노자관의 의의가 씨ᄋᆞᆯ의 노자 찾기에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맥락에서, (1) 무위의 정치철학적 비판의 특징, (2) 생명과 생태환경 존중의 특징, (3) 문명위기에 대한 비판의 특징, (4) 평화사상의 특징 등이 발견된다고 보았다. 이와 같은 특징들은 모두 씨ᄋᆞᆯ의 일상적 삶의 본질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동질성이 있다.
    함석헌은 노자를 통해 비판적 대상과 지향적 대상을 명백히 한다. 그는 노자처럼 인위에서 폐단이 나오고 자연에서 평화가 이루어진다는 신념을 갖는다. 그리고 이와 같은 신념의 토대 위에서 일체의 인위적 요소를 비판적으로 배제하고 자연대로의 삶 자체에 충실할 것을 제안한다. 그가 강조하는 씨ᄋᆞᆯ은 마치 자연과 같아서 억지로 착취하거나 억압을 가해서는 안 되는 존재이다. 그래서 그는 씨ᄋᆞᆯ을 억지로 건드리지 말고 그냥 있는 그대로 놓아두라고 한다. 억지로 일삼지 않고 씨ᄋᆞᆯ을 있는 그대로 놓아둘 때, 정치는 온전하게 이루어질 것이고, 생명과 생태환경은 저절로 보존될 것이며, 문명에 의한 자연의 침탈도 최소화될 것이라서 씨ᄋᆞᆯ이 타자에 의지하지 않고도 평화롭게 살 수 있는 세상이 열릴 것이라고 본다. 함석헌의 이와 같은 노자관은 거의 종교적 신념에 가까운 것이었다.

    영어초록

    The transformation of Ham Seok-heon’s ideas can be divided largely into three levels. The nationalism and the idea of Minjung in his 20s-30s, the doctrine of nonviolence and pacifism in his 40s-50s, and the Life thought and the totalitarianism thought of the independent public in his 60s-80s constitute this transformation. However, such a transformation of ideas maintains a close mutual relationship of thoughts, rather than being severed from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there is one point that does not fundamentally change in the midst of the transformation of thoughts. This unchanging point is the existential self-awareness of public, which Ham Seok-heon dubbed “Ssial,” and his affection towards them.
    This text explores a few of the basic positions on Laozi, which were among the East Asian Thoughts Ham Seok-heon showed intensive interest in and spoke about beginning in his 40s-50s. Through this text, I expressed my views that the significance of Ham Seok-heon’s view on Laozi is found in the Ssial’s search of Laozi. Furthermore, it can be seen that (1) the characteristics of politico-philosophical criticism on inaction, (2) the characteristics of respect for life and ecological environment, (3) the characteristics of criticism on civilization’s crisis, and (4)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cifist thought were discovered in this context. These characteristics are homogenous with each other in that they are all closely related to the fundamental elements of the Ssial’s daily life Ham Seok-heon clarifies his critical object and intentional object through Laozi. Like Laozi, he is convicted that harm comes from artificiality and peace is achieved from nature. Upon this principle, he suggests critically eliminating the artificial factors in entirety and becoming devoted to life as it occurs naturally. The Ssial that he emphasizes is like nature itself, and therefore it is a being that should not be exploited nor oppressed by force. Accordingly, he tells his audience to leave the Ssial as it is, instead of forcibly provoking it. He believed that a world where the Ssial can live peacefully without dependence on others will be achieved only when the Ssial is left as it is, because politics will proceed with integrity, life and ecology will be automatically preserved, and civilization’s plunder of nature will be minimized as a result. Ham Seok-heon’s understanding of Laozi, as described above, was a viewpoint very close to a religious convi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