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충익의『椒園談老』에 드러난 有無觀- 왕필 『老子注』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Yu-Moo-Theory(有無觀) described in 『Cho-Won-Dam-Ro(椒園談老)』by Lee, Choong-Ik: based upon comparison with 『Tao-tse-ju』of Wang, Phil)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08.04
24P 미리보기
이충익의『椒園談老』에 드러난 有無觀- 왕필 『老子注』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도교문화연구 / 28호 / 243 ~ 266페이지
    · 저자명 : 김윤경

    초록

    조선시대 다섯 권의 『老子』 주석서 가운데 이충익의 『椒園談老』는 ‘강화학파’의 대표적인 노자주석서이다. 기존의 주석서들은 『노자』를 주석하는데 있어 ‘유무론’이 중심이 되지 않았다. 그러나 『椒園談老』는 ‘유무론’을 중심으로 현학가들의 주석을 비판하면서 동시에 조선시대 ‘성리학’의 형이상학적 범주에 한정되지 않는 존재론을 보여준다. 이충익은 당시의 학문이 서로 조화하지 못하고 대립하게 된 것이 바로 ‘有’와 ‘無’의 형이상학적 체계가 제대로 정립되지 않아서라고 주장하면서 ‘귀무론’과 ‘숭유론’을 비판한다.
    이충익의 ‘유무관’의 중요한 특징은 ‘有無二元論’에 대한 비판이다. 이는 ‘有無相對論’과 ‘有生於無’에 대한 비판으로 말할 수 있다. ‘有無相對論’에 대한 비판은 有와 無를 각각의 독립된 관념으로 보는 것에 대한 비판으로 유와 무는 ‘相因’과 ‘相卽’의 관계라는 것이다. 그리고 ‘有生於無’에 대한 비판은 유와 무를 생성론적 도식으로 해석하는 것에 대한 부정이다. 이충익은 이를 바탕으로 ‘無常有論’을 제시한다. 이는 ‘도의 실현’을 유무의 일원론(常無常有論) 상에서 말하고자 한 것으로 유무의 운동성을 강조한 것이다. 그는 ‘성리학’적 형이상학이 지배하던 시대에 자신만의 유무관을 통해 유학과 불가 도가를 아우르는 형이상학적 체계를 말하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Among five annotation books in the Joseon Dynasty of 『Lao-tse(老子)』『Cho-Won-Dam-Ro(椒園談老)』by Lee, Choong-Ik is deemed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Lao-tse annotation books of ‘Kang-Wha-school(江華學派)’. Existing annotation books hardly played a central role in ‘Yu-Moo-Theory’ as far as annotation book of Lao-tse was concerned. Cho-Won-Dam-Ro, centered upon ‘Yu-Moo-Theory’, criticized scholars’ annotation books and showed existing theory not belonging to metaphysical category in ‘Seong-Ri-Hak’ in the Joseon Dynasty. Lee, Choong-Ik hardly got harmonized with at-the-time academic trend, while insisting that conflicting them was largely caused by the fact that the metaphysical system between ‘Yu(有)’ and ‘Moo(無)’ had not been properly established. He had criticized ‘Gwi-Moo-Theory’ and ‘Soong-Yu-Theory’ accordingly.
    Lee, Choong-Ik’s ‘Yu-Moo-Theory’ is mainly featured in criticizing ‘Dual system of Yoo-moo(二元論)’. It can get boiled down to ‘Yu-moo-sang-dae(有無相對論)’ and ‘Yu-sang-uh-moo(有生於無)’. Theory of ‘Yu-moo-sang-dae(有無相對論)’ is to criticize a viewpoint that ‘Yu’ and ‘Moo’ is independently separated from each other; Yu and Moo are in the relation of ‘Sangin (相因)’ and ‘Sangjeuk (相卽)’. In addition, ‘Yu-saeng-uh-moo’is to criticize interpreting Yu and Moo with figures of creative theory (生成論). Lee, Choong-Ik proposed ‘Theory of Shang-Moo-Shang-Yu常無常有論’ on the basis of this. This focuses upon mobility of Yu and Moo with a purpose of explaining ‘realizing of one’s moral sense’ from the aspect of Yu and Moo one-system theory (常無常有論). He intended to have told us metaphysical system that led us to harmonize the Confucian, the Buddhism, and the Taoism through his own Yu-Moo-Theory in the era of metaphysical ‘Seong-Ri-Hak’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교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3 오후